검찰, 이영호 前비서관 소환 왜

검찰, 이영호 前비서관 소환 왜

입력 2010-08-07 00:00
업데이트 2010-08-0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윗선 수사’ 대비한 사전포석 의미

이미지 확대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
검찰이 6일 민간인 불법 사찰의 ‘비선’으로 지목된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을 소환하고, 사찰의 ‘몸통’인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 등을 기소할 방침을 세움에 따라 검찰 수사가 ‘2라운드’로 접어들게 됐다. 검찰이 애초 내주 초쯤 예상됐던 이 전 비서관의 소환을 앞당긴 것은 2라운드에 벌어질 ‘불법 사찰 윗선 수사’에 대한 검찰의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읽힌다.

이 전 비서관 소환에 대해 검찰은 전날 밤까지만 해도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었다. 신경식 1차장검사는 “현재로선 이 전 비서관 소환 계획이 전혀 없다.”며 “(참고인으로 부른 뒤 피의자로 신분이 바뀔 수 있다는 언급도) 검찰 입장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검찰은 이날 갑작스럽게 입장을 바꾸고 이 전 비서관을 전격 소환했다.

검찰은 우선 이 전 비서관을 참고인으로 불러 김종익 전 NS한마음 대표 불법 사찰과의 관련성을 살핀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진행 상황에 따라 수사 범위는 추가 사찰 건 등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 신 차장검사는 “(이 전 비서관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은 여러 가지”라며 “그와 관련된 의혹들, 필요한 건 모두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렇게 되면 그 신분 역시 참고인에서 피의자로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참고인 진술 외에 물증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라 이 전 비서관 혐의 입증은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애초 검찰은 지원관실 외부 전산자료 복원을 끝내고 그 물증을 바탕으로 이 전 비서관을 소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윗선’에 대한 ‘결정적 증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던 복원 작업이 실패로 끝나면서 물증 확보가 요원해진 상태다.

이런 상황인데도 검찰이 이 전 비서관을 전격 소환한 것은 본격 ‘윗선’ 수사를 대비한 또 다른 ‘사전 포석’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물증 대신 ‘인적 증거’ 확보에 더 많은 시간과 수사력을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피의자 기소 이후 검찰 수사도 결국 ‘인적 증거’ 확보 싸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지원관실 업무 전반을 꿰고 있었다는 ‘비선 메신저’ 진경락 기획총괄과장과 이 전 비서관을 중심으로 의미 있는 진술 확보에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 전 비서관 소환은 일종의 ‘면죄부’이며 마무리를 위한 ‘요식행위’라는 분석도 있다. 검찰은 이날 이 전 비서관과 진 과장을 소환하면서도 이 전 지원관 등 피의자들은 부르지 않았다. ‘윗선’ 보고 여부 확인에 필수적인 대질심문을 하지 않은 셈이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
2010-08-07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