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새에 주석 미포함 행자부 알고도 묵인

국새에 주석 미포함 행자부 알고도 묵인

입력 2010-08-26 00:00
업데이트 2010-08-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대 국새가 완성된 뒤 민간 연구용역팀이 감리보고서를 통해 합금에 들어가야 할 주석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지적했지만 당시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가 이를 간과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5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국새 완성 후 행자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 하나로이용기술개발센터 심철무 박사팀에 감리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감리보고서에는 국새 성분 분석결과 중요한 합금재료인 주석이 포함돼 있지 않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또 국새 백서에는 거푸집을 현대식 가마에서 구웠다고 기록돼 있다. 진흙으로 된 거푸집을 전통방식으로 제작한다는 당초 정부 계획과 다르다. 계약서에 전통가마라고 명시하지 않아 계약 자체가 허술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행안부 관계자는 “계약서에 전통가마라고 명시돼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통방식’이 전통가마를 의미한다.”면서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백서를 편찬하다 보니 꼼꼼하게 확인하지 못해 현대식 가마에서 구웠다는 것을 몰랐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계약 내용과 실제 제작 과정, 만듦새가 다르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를 문제 삼지 않았다. 정확히 무엇이 문제가 되는지 모르는 비전문가로서의 한계가 결국 이번 국새 논란의 의혹을 키운 셈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금 합금으로 제작한다는 내용은 계약에 있었지만 금, 은, 구리, 아연, 주석 등 반드시 다섯 종류의 합금을 넣어야 한다는 내용은 없었다.”면서 “비파괴검사에서 30년 이상 쓸 수 있을 정도로 내구성이 좋아 특별히 문제가 없다. 가장 중요한 건 균열 여부 아니냐.”고 말했다.

당시 감리는 3개월의 과정을 걸쳐 철저하게 진행됐다. 심 박사팀은 국새를 인계받아 중성자 영상장치를 이용해 감리작업을 벌였다. 감리는 ▲구조 해석 ▲화학 분석 ▲비파괴검사 ▲초음파 두께 측정시험 ▲와전류 탐상시험 ▲침투탐상시험 등 국새의 구조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심 박사는 “감리 과정에서 보완이 가능한 수준의 문제점이 발생해 작업이 오래 걸렸다.”면서 “감리 과정에서 문제들이 발견돼 제작단장인 민홍규씨와 상의를 거쳐 여러 번 국새를 손봤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씨가 2008년 11월쯤 월간지 ‘노블리제(Noblige)’에 금장 옥새를 판매하는 광고를 게재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민씨는 광고에 ‘민홍규, 조선왕조 32대 옥새전각장’ ‘대한민국 국새제작단 단장’ ‘이것이 대한민국의 국새다. 이제 귀하의 가문 및 기업의 영광의 상징으로 재현됩니다.’라는 문구와 연락처를 실었다.

이민영기자 min@seoul.co.kr
2010-08-26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