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교육현안 논의’ 민관협의회 출범

‘서울 교육현안 논의’ 민관협의회 출범

입력 2010-09-09 00:00
업데이트 2010-09-09 1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초등학생 무상급식 예산 등 10월초까지 합의”

친환경 무상급식과 사교육·학교폭력·학습준비물 없는 ‘3무(無)학교’ 등 서울지역의 교육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민관협의회가 출범했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허광태 서울시의회 의장,곽노현 서울시교육청 교육감,고재득(성동구청장) 서울구청장협의회 회장은 9일 오전 시청 구내식당에서 간담회를 갖고 서울교육행정협의회를 꾸려 정례적으로 교육 현안을 논의키로 합의했다.

 이들은 또 협의회의 구체적인 사안을 논의하기 위해 산하에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민관협의회는 서울시의회 민주당 김종욱 의원,한나라당 김용석 의원,서울시 김상범 경영기획실장,서울시교육청 이대열 기획관리실장,김영배 성북구청장,현안 관련 민간단체 2곳이 참여한다.

 관련 민간단체는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이 1곳씩 추천하게 된다.

 이들은 내년도 초등학생 무상급식과 ‘3무 학교’ 실현 등에 대한 재정 분담비율을 다음달초까지 합의하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오 시장은 간담회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그동안 몇차례 교육현장을 찾아 사교육비 부담과 학교폭력이 없어지고 안전한 학교를 바라는 학부모님들의 생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런 바람이 합의안에 오롯이 담기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민주당 소속 시의원과 구청장,곽노현 교육감은 친환경 무상급식을 전면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오 시장은 안전한 학교 만들기와 친환경 우수 식자재 사용 등을 통해 급식의 질을 높이는 게 우선이라는 견해를 밝혀왔다.

 초등학교에 전면 무상급식을 하는 데는 연 2천300억∼2천500억원이 들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허광태 의장과 곽노현 교육감,고재득 회장은 이날 간담회 후 성명서를 내고 친환경 무상급식 재정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확보할 것을 촉구했다.

 곽 교육감은 “친환경 무상급식은 아이들에게 건강을,농민들에게는 안정된 판로를 확보해 주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