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근교수 “제3의 기관서 재검증하자”… 심장 카바수술 제2 라운드

송명근교수 “제3의 기관서 재검증하자”… 심장 카바수술 제2 라운드

입력 2010-10-07 00:00
업데이트 2010-10-07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건연 “사망자 11명 누락됐다”

“그렇다면 중립성과 합리성이 보장된 세계적 공인인증기관에 평가를 의뢰해 봅시다.” ‘카바수술(CARVAR·종합적 대동맥 판막 및 근부성형술)’을 개발한 건국대병원 흉부외과 송명근 교수는 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공청회를 열어 최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장까지 번진 카바수술 안전성 논란에 마침표를 찍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미지 확대
건국대병원 흉부외과 송명근 교수
건국대병원 흉부외과 송명근 교수
송 교수는 “신의료기술에 대한 평가는 투명하고 공정해야 한다.”면서 “허위로 조작된 통계자료로 카바수술이 위험하다고만 할 게 아니라 세계적 공인인증기관으로부터 객관적인 평가를 받자.”고 한국보건의료연구원(보건연)에 공식 제안했다.

의료계에서도 양측의 진실공방이 접점을 찾기 어려운 만큼 제3의 기관을 통해 ‘제로베이스’ 상태에서 카바수술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국내 의료진이 제외된 평가단을 구성하거나, 국외 전문가들에게 의뢰하는 등의 대안이 속속 나오고 있다. 송 교수는 카바수술을 중단할 것을 건의한다는 내용의 보건연 연구보고서에서 “사망률 조작, 유해사례 조작, 수술 적합성에 대한 허위기재 등이 발견됐다.”며 근거자료를 제시, 조목조목 반박했다.

논란의 핵심으로 떠오른 ‘수술 후 사망률’ 부분에서 카바수술을 한 대동맥판막질환군 337명의 조기사망률은 1.19%로 낮은데, 보건연은 1년 추정사망률이 3.83%라고 높여 과장했다는 것이 송 교수 주장의 요지다.

또 송 교수는 “카바수술의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한 비교대상이 부적절하다.”면서 “마치 사과를 오렌지에 비교하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카바수술과 기존의 판막치환술을 비교하려면 양쪽 똑같이 치료가 가능한 질환자를 수술한 결과를 비교해야 하는데, 보건연은 판막치환술로는 수술이 불가능한 대동맥 근부질환자까지 카바수술 결과에 포함시켜 통계를 냈다는 것이다. 대동맥 근무질환자 수술은 카바수술만 가능하며 수술 후 사망률은 20%에 이를 정도로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보건연도 송 교수의 주장에 맞불을 놓았다. 송 교수가 국회에 제출한 카바수술 자료에 사망자 11명이 누락됐다며 카바수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선 것. 서울소재 모 대학병원의 교수가 “양측의 주장이 워낙 팽팽해 어떤 결과가 나와도 신뢰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할 만큼 ‘카바수술 진실공방’이 진흙탕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0-10-07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