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응수 대목장 “현판 뜯어 확인해 보라”

신응수 대목장 “현판 뜯어 확인해 보라”

입력 2010-11-15 00:00
업데이트 2010-11-15 1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화문 복원 도편수인 신응수 대목장은 광화문 현판의 소재가 금강송이 아닌 일반 소나무라는 최문순(민주당) 국회의원의 주장에 대해 “(금강송인지 아닌지 궁금하다면) 현판을 직접 뜯어서 확인해 보라”고 15일 반박했다.

 신 대목장은 “이제 그런 주장들에 일일이 대응하고 싶지 않다”면서 “나무와 나무의 속성을 모르는 사람들이 자꾸만 이상한 이야기를 지어낸다”고 말했다.

 그는 또 광화문(光化門) 현판의 ’光‘ 자에서 발생한 균열을 볼 때 결이 바르지 않은 나무가 사용됐고,옹이가 많은 나무 윗동을 공급했으며,곧은결 판재가 아닌 건조시 뒤틀리기 쉬운 무늬결 판재 등을 썼다는 최 의원측 주장도 반박했다.

 신 대목장은 “(제대로 된 현판 재료를 쓰려면) 직경 1m짜리 금강송이 있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 그런 소나무가 어디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그런 소나무가 없는 상황에서 (현판 재료로 공급한 금강송을) 폭 45㎝짜리 송판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나무를 옆으로 켤 수밖에 없었으며,균열이 바르게 발생하지 않은 것도 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 의원의 문제 제기에 대해 김원기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장은 “지금 현판 균열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하는 중이므로 재료가 금강송이 아니라 일반 소나무라는 주장도 함께 검증해 보겠다”고 말했다.

 현판 재료를 놓고 논란이 된 ’금강송‘에 대해 고건축 전문가인 김홍식 명지대 교수는 “금강산에서 나는 소나무라고 해서 금강송이라 부르는 소나무의 한 종류로,우리나라에는 울진이나 삼척지방까지 자란다”면서 “금강송은 껍질이 붉은빛을 띠고 곧게 자라기 때문에 건축이나 조각 재료로 가장 선호하는 소나무”라고 말했다.

 그에 비해 금강송과 함께 언급되는 육송은 상대적으로 껍질이 두껍고 잘 벗겨지는 특징이 있지만 “금강송과 육송은 형제지간이라 해도 무방한 소나무”라고 김 교수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