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인들 한국 신뢰…교류 늘면 양국 큰 도움 될 것”

“이란인들 한국 신뢰…교류 늘면 양국 큰 도움 될 것”

강병철 기자
입력 2015-11-04 22:34
업데이트 2015-11-04 22: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란마예 이란 누보레시社 상무 세계한인차세대대회 참석

“한국은 높은 수준의 기술을 가졌고 이란은 풍부한 자원을 보유했습니다. 양국 교류가 활성화되면 한국과 이란 모두 큰 도움을 얻을 겁니다.”

이미지 확대
그란마예 이란 누보레시社 상무
그란마예 이란 누보레시社 상무
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재단 주최로 지난 2일부터 서울·제주 등에서 진행 중인 제18차 세계한인차세대대회 참석차 방한한 킴야 그란마예(36) 이란 누보레시사(社) 상무이사는 4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이란 관계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다. 누보레시는 레이저를 이용해 철강을 절단하는 기술 등을 갖춘 중장비 서비스업 회사다. 전 세계 차세대 한인 리더 90여명이 모인 이 대회에서 그는 유일한 이란인 참가자다. 이란은 지난 7월 핵 협상 타결 이후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으며,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오는 7일 외교장관으로서는 14년 만에 이란을 방문한다.

1977년 서울과 이란 수도 테헤란의 자매결연을 기념해 이름이 붙은 서울 강남 테헤란로의 한 호텔에서 만난 그는 “오랫동안 한국 정부는 이란을 찾지 않았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란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도 그리 좋지 않지만 사실 이란은 한국만큼 전통이 있는 나라”라며 “이란인은 중국·일본보다 한국을 더 신뢰한다. 그만큼 한국도 이란에 신뢰를 보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란마예 이사는 독일계 이란인 아버지와 한국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한국, 독일, 이란의 영향을 모두 받았지만 그는 한국이 가장 친숙하다고 했다. 한국 방문은 5살 때 어머니를 따라온 기억이 전부지만 어릴 적부터 한국계 친구들과 주로 어울렸고 한글학교에서 꾸준히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익혔기 때문이다. 최근 이란에서도 유행하는 한국 드라마와 케이팝, 케이뷰티 등의 영향도 컸다.

스스로 정체성을 ‘한국계 이란인’이라고 정의한 그의 꿈은 한국과 이란을 잇는 ‘다리’ 역할을 꾸준히 해 나가는 것이다. 우선 자기 분야에서부터 한·이란 간 이해를 넓혀 가자는 취지로 석 달 전부터는 SK네트웍스 현지 지사에서 석유화학 관련 일도 하고 있다.

그란마예 이사는 핵 협상 타결에 대해 “발목을 잡던 정치적 문제가 해결됐으니 한·이란 간 교류는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며 “나 같은 한국계 이란인이나 이란계 한국인들이 두 나라를 이어 가는 연결고리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전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5-11-05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