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DMZ 지뢰부상 곽중사 치료비 부담 거부

국방부, DMZ 지뢰부상 곽중사 치료비 부담 거부

김형우 기자
입력 2015-11-05 15:21
업데이트 2015-11-05 1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방부가 지난해 6월 비무장지대(DMZ) 작전 중 지뢰를 밟아 부상당한 곽모 중사의 민간진료비 지급을 끝내 공식거부했다.

정의당 김종대 국방개혁기획단장은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육군 본부는 어제(3일) 곽 중사 모친에게 ‘곽 중사가 지불한 민간병원 치료비를 부담할 수 없다’고 공식적으로 통보했다”며 “임무 중 다친 군 간부의 민간병원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겠다는 국방부의 호언장담이 완전히 거짓말임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앞서 곽 중사는 지난해 6월 DMZ 작전 중 지뢰를 밟아 부상당한 후 4번의 수술을 받았다. 그러나 당시 정부는 곽 중사에게 한 달 치료비만을 지원했고, 곽 중사의 어머니는 나머지 치료비를 갚느라 750만 원의 빚을 졌다.

곽 중사의 어머니는 지난 8월 목함지뢰로 다친 군인과 아들의 처지를 비교하며 “똑같이 지뢰사고로 다쳤는데 누구는 연일 매스컴을 타니 기업에서 모금을 해주고, 훈장을 주고, 대통령이 직접 위문을 가 위로금을 전달한다. 같은 국민인데 돈 없고 빽없는 사람은 이래도 되는 거냐”라는 내용의 편지를 정의당 심상정 대표에게 보냈고, 이 소식은 정의당 상무위원회에서 공개되며 널리 알려졌다.

이에 국방부는 지난 9월 23일 보도자료를 내고 “전상이나 고도의 위험직무의 수행으로 얻은 질환이 군 병원에서 진료가 불가능할 경우 완치될 때까지 민간병원 진료비를 전액 국가가 부담하도록 제도 개선 중이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김 단장에 따르면, 국방부는 10월 29일 군인연금법 시행령을 개정해 공무상요양비 지급 기한을 2년으로 늘리되 그 대상을 전상자와 특수직무 순직 인정 대상자로 한정했다. 즉 곽 중사와 같은 공상자는 지급 대상자에 제외돼 시행령 개정 후에도 이전과 같이 민간병원 요양비를 최대 30일까지만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자 국방부는 같은 날 “언론에서 보도한 ‘곽 중사의 민간진료비 지급 거부’는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 자료를 내놨다.

국방부는 “지난 10월 29일 공포된 군인연금법 시행령은 ‘전상 및 특수직무 수행 중 부상을 입은 군인에 대해서는 민간병원 요양기간을 2년 이내로 하되, 1년 단위로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곽 중사의 경우 특수직무에는 해당되나 개정된 군인연금법시행령이 소급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향후 공무상요양비를 신청하면 30일 한도 내에서 공무상요양비를 지급할 예정”이며 “이 사실을 곽 중사 어머니에게도 통화를 통해 설명했다”고 밝혔다.

요약하자면 법은 개정됐지만 곽 중사의 경우에는 소급되지 않아 진료비는 약 30일 한도 내에서만 지급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국방부의 입장자료는 앞서 알려진 언론 보도의 내용과 별반 다르지 않은 것으로, 이는 해명이라기보다 “곽 중사에게 진료비를 지급할 수 없다”는 확인사살에 가깝다.

한편 국방부는 지난해 21사단에서 작성한 곽 중사 사고 상황보고 문건에 곽 중사가 투입된 임무가 ‘불모지 작전’이라고 명시되어있는 부분을 지난 9월 보도자료에서는 ‘지뢰 수색 작업’으로 곽 중사의 임무를 슬그머니 격하시키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김형우 기자 hw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