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유연근무제 확산…”가족관계·업무 만족도↑”

서울시 유연근무제 확산…”가족관계·업무 만족도↑”

입력 2015-11-05 07:41
업데이트 2015-11-05 07: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출퇴근 편의·육아 등 위해 시차출퇴근제·근무시간 선택제 참여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에 참여하는 서울시 직원이 늘어나면서 직원들의 가족관계가 개선되고 업무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서울시와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시차출퇴근제와 근무시간선택제 등 유연근무제에 참여한 시 직원은 작년 말 기준 1천426명으로 전체의 14.4%에 달한다.

유연근무제 유형별 참여자를 보면 출·퇴근 시간을 자율 선택하는 시차출퇴근제가 1천245명(87.3%)으로 가장 많다.

이어 하루 4∼12시간 근무하는 근무시간 선택제 78명(5.5%), 재택근무제 56명(3.9%), 자택인근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주 1∼4일 근무하는 스마트워크 근무 43명(3.0%), 주 15∼25시간 근무하는 시간선택제 4명(0.3%) 등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833명, 여성이 593명이다.

시 유연근무제 참여 인원은 2010년 52명, 2011년 183명, 2012년 796명, 2013년 1천276명으로 크게 늘었다.

시는 올해의 경우 9월 말 기준 유연근무제 참여 인원이 시차출퇴근제 5천527명, 근무시간 선택제 291명 등 모두 5천963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작년까지는 의무로 운영된 수요일 유연근무의 날 참여 인원을 통계에서 제외했지만 올해부터는 자율로 바뀌었기 때문에 포함시켰다”고 설명했다.

가정의 날이기도 한 수요일에 개인 사정에 따라 오전 8시에 나오거나 오전 10시에 출근해 8시간 근무를 채우는 경우가 많다고 시는 말했다.

서울연구원은 7월 6∼20일 시 공공부문 종사 직원 1천6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유연근무제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가 높았다고 평가했다.

서울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서울시 유연근무제 참가자 만족도 높아 기반시설 확충·제도 개선으로 확대 유도’ 보고서에서 이와같이 밝혔다.

응답자 중 유연근무제 참여 직원은 917명, 미참여 직원은 735명이다.

유연근무제 참여 직원의 만족도는 5.0점 만점에 3.5점이었다. 이 중 가족관계 개선(4.0점), 여가시간 증가(3.8점), 건강개선(3.8점) 등 개인 생활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직무 만족도 증가도 3.7점을 받았다.

참여자들의 주요 동기는 출퇴근 시간 편의(32.5%)가 가장 많았고 이어 육아(19.8%), 부서평가(16.6%), 자기계발(10.0%), 업무효율(6.1%) 등 순이었다.

유연근무제로 얻은 여가 시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는 휴식(24.2%)이나 육아(21.5%)가 많았고 자기계발(17.2%), 취미활동(13.1%)도 있다.

앞으로 유연근무제를 계속 하겠다는 응답은 87.4%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특히 영유아 자녀를 둔 직원의 97.2%가 참여하겠다고 답해서 육아에서 유연근무제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서울연구원은 분석했다.

그러나 사무실 운영비용(2.9점)이나 출퇴근 비용(2.7점) 등 비용 항목에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미참여 직원들도 유연근무제에 대한 호감도가 5.0점 만점에 3.6점에 달했으며 응답자의 78.5%가 필요한 제도라고 답했다.

참여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복수 응답을 받은 결과 가장 많은 47.2%가 상사의 눈치를 꼽았고 업무 특성 문제(44.9%)나 임금 감소(8.8%)도 있었다.

연구원은 유연근무제 확산을 위해 ▲ 시가 선도 모델을 발굴, 확산하고 ▲ 부서와 기관 평가에 유연근무제를 반영하며 ▲ 스마트워크센터 등 기반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