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이준식 출제위원장 “문항오류 점검 충실히”…일문일답

<수능> 이준식 출제위원장 “문항오류 점검 충실히”…일문일답

입력 2015-11-12 09:28
업데이트 2015-11-12 0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점자 비율 출제과정서 고려 안 해”…”최고난도 문제 영역별 2∼5문항”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인 이준식 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교수는 12일 “수능의 신뢰성이 회복될 수 있도록 강화된 문항 오류 점검절차를 충실히 이행했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2년 연속 발생했던 문항 오류로 어느 때보다 출제 과정에서 심적 부담이 컸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또 “만점자 비율은 출제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았다”며 “영역별로 예상 정답률 20∼30%인 최고난도 문제는 과목별로 적게는 2∼3문항, 많게는 4∼5문항 정도”라고 설명했다.

다음은 이 위원장과 일문일답.

-- 만점자 비율은 어느 정도 고려하나. 6, 9월 모의평가 때와 비슷하게 출제했다고 하는데 ‘물수능’이라고 봐도 되는가.

▲ 만점자 비율은 출제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았다. 최상위권에만 초점을 맞춰 난이도를 언급하는 것은 교육적으로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난이도 해석할 때 만점자 비율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만점자는 예외적인 사례인 만큼 전체 시험 난이도를 이것으로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올해 수능은 교육부 발표대로 교육과정 내용과 수준에서 전년도와 같은 출제 기조를 유지하고자 했다.

-- 지난해에는 이례적으로 수학 B가 매우 쉽게 출제됐다는 반응이 많았는데 올해는 어떤가.

▲ 특정영역의 난이도를 변화시켰다고 말할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2차례 모의평가 난이도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했다. 말하자면 시험 출제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게 수험생이 예측 가능하고 합리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봤다.

-- 문항 오류 방지 위해 어떤 장치를 활용했나.

▲(민찬홍 검토위원장) 검토위원 숫자를 늘리고 검토 일정을 길게 해 검토위원들이 검토에 들어가기 전 충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평가위원의 숫자를 늘리고 전문성을 높이는 개선 방안을 마련해 시행했다. 이밖에 문항 점검위원회를 거치는 단계를 만들어서 출제와 검토 과정에서 논란이 되는 문항, 특별히 주시할 문항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관리하는 등 세 가지 장치를 마련했다. 전체적으로 의심할 만한 모든 것을 충분히 지적하고 그 지적들이 충분히 숙고하지 않은 채로 묻히지 않도록 살피는 데 집중했다.

문항점검위에서는 이례적인 문제만 점검하는 게 아니라 내부 기준을 정해서 상당수 문항을 점검해 보고 개선방안 끝까지 추적했다. 상당수 문항이 다뤄졌다.

문항점검은 검토위원장 주재 아래 영역별 위원장과 기획위원, 검토위원 대표 선생님들이 다 모여서 이뤄졌다. 검토위원단과 출제위원단 간에 이견이 있거나 어렵다고 지적된 문제, 저 자신이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는 모두 논의했다.

(이준식 출제위원장) 영역별로 검토위원 숫자는 최소 4명에서 10명 이내였다.

-- 변별력을 높이고자 영역마다 최고 난도를 어느 정도로 했는지.

▲ 영역이나 과목별로 예상 정답률 20∼30%인 최고난도 문제는 과목별로 다르긴 하지만 2∼3문항에서 많게는 4∼5문항 정도다.

(민찬홍 검토위원장) 만점자 숫자를 조절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난이도를 조정하지 않았다. 출제 기조를 벗어나지 않는 게 최고의 원칙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