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폭력시위주도’ 민노총 등 8개 단체 압수수색

경찰 ‘폭력시위주도’ 민노총 등 8개 단체 압수수색

입력 2015-11-21 14:06
업데이트 2015-11-21 14: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노총 본부 첫 압수수색…세월호·총파업집회 불법행위 증거물도 압수대상 민노총 “적반하장 공안탄압 테러” 반발…중집위 소집해 대응책 논의

이미지 확대
경찰, 민주노총 압수수색
경찰, 민주노총 압수수색 21일 오전 경찰의 압수수색을 받고 있는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본부가 기동대원들에 둘러싸여 있다.
이달 14일 서울도심에서 열렸던 민중총궐기 집회에서의 과격·폭력 시위를 수사 중인 경찰은 민주노총 본부를 비롯해, 민주노총 서울본부, 금속노조, 건설노조 등 8개 단체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PC와 유인물 등을 확보하고 있다. 2015.11.21
연합뉴스
이달 14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민중총궐기 집회에서의 과격·폭력 시위를 수사 중인 경찰이 21일 민주노총 등 집회 주최 단체의 사무실을 동시다발 압수수색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이날 오전 7시30분부터 중구 정동 경향신문사 건물의 민노총 본부와 금속노조를 비롯해 민노총 서울본부, 금속노조 서울지부, 건설산업노조, 건설노조, 플랜트노조, 공공운수노조 등 8개 단체의 사무실 12곳을 압수수색해 PC와 서류, 서적, 유인물 등을 확보했다.

경찰이 민노총 본부를 압수수색한 것은 1995년 이 단체 설립 이후 처음이다.

다만, 경찰은 2013년 12월 철도파업을 주도한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를 위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민노총 본부에 강제진입한 적이 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 단체는 14일 집회에서 장시간 도로를 점거한 채 사전에 준비한 쇠파이프와 철제 사다리 등으로 경찰관을 폭행하고 경찰 장비를 손괴하는 등 과격·폭력 시위를 주도하고 사전에 기획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들 단체 가운데 일부가 조계사에 은신 중인 한상균 민노총 위원장의 도피를 도운 혐의도 받고 있어 이와 관련한 증거물이 있으면 확보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경찰은 4월16일 세월호참사 1주기 집회, 이틀 뒤 세월호 범국민대회, 같은달 24일 민노총 총파업 대회, 5월1일 노동절 및 세월호 집회, 9월23일 민노총 총파업집회 당시 불법 집회·과격 시위를 주도한 혐의도 압수수색 영장에 포함했다.

이날 압수수색에는 서울경찰청과 남대문서·서부서·영등포서 소속 수사관 370명과 경찰관 기동대 4대 부대 320명 등 690명이 투입됐다. 또 수색 대상 사무실 인근에 우발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23개 의경 부대 1천840명을 배치했다.

경찰력은 경향신문사 본관 민노총 본부와 별관의 금속노조 사무실에 집중됐다. 이곳에 수사관과 경찰관 부대원 392명이 투입됐고, 12개 의경부대 960명이 경향신문사 주변에 폴리스라인을 치고 민노총 관계자의 접근을 차단했다.

특히 경찰은 2013년 민노총 본부 강제진입 당시 이를 저지하려는 민노총 측과 격렬하게 충돌한 점을 감안해 대형 에어 매트리스 2개를 준비하는 등 안전 대비도 했다.

경찰은 압수수색 초반 대상과 범위 등을 놓고 민노총 측과 실랑이를 벌였지만 영장 집행 과정에서 큰 충돌은 빚어지지 않았다. 민노총 본부 압수수색은 5시간40여분 만인 오후 1시10분께 마무리됐고, 경찰은 대형 박스 5개 분량을 압수했다.

민노총은 수색 대상 사무실에 1∼2명씩의 입회인을 배치하고서 영장 집행에 협조했다.‘

하지만, 민노총은 이번 압수수색을 경찰에 쏠린 과잉진압 비판에 대한 ’국면전환용, 공안정국 조성용'으로 규정하며 거세게 반발했다.

민노총은 이날 정오 본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살인 물대포를 맞아 사경을 헤매는 백남기 농민에게 한마디 사죄도 없던 경찰은 공안 탄압으로 비난을 모면하려 한다”며 “이는 적반하장을 넘어 패륜으로, 강력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이번 압수수색에는 민중 총궐기와 무관한 올해 4월 16일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제와 4월 24일 총파업 등 무관한 사안까지 포함됐다”며 “이는 노동운동 등 비판적 사회운동 전체를 말살하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이날 오후 1시50분부터는 산별노조 대표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다음 달 5일 2차 민중총궐기 계획, 한 위원장 거취, 향후 투쟁 방향, 압수수색 대응 방안 등을 심도있게 논의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