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억제 분자 발견…울산과기원 “신약 개발 단축”

치매 억제 분자 발견…울산과기원 “신약 개발 단축”

입력 2015-11-23 10:24
업데이트 2015-11-23 1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DMPD(N,N-dimethyl-p-phenylenediamine)’라는 작은 분자로 다양한 알츠하이머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 질환을 일으키는 요소는 명확하지 않고 다양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 다양한 요소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다.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DMPD가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와 금속’, ‘활성화 산화종’ 등에 작용해 그 기능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특히, 아밀로이드 베타는 금속이 결합하든 아니든 독성이 없는 방향으로 유도했다.

연구진은 DMPD를 맞은 알츠하이머 쥐가 보통 쥐와 같은 수준의 인지능력과 학습능력을 일정 기간 회복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단일 분자로 알츠하이머 질환의 다양한 원인을 한꺼번에 잡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 것”이라며 “신약 개발의 비용과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며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최신호 온라인 속보로 발표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