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에 66만원·빅데이터 분석” 깜깜이 정시 휘젓는 불법 컨설팅

“1시간에 66만원·빅데이터 분석” 깜깜이 정시 휘젓는 불법 컨설팅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5-11-29 23:28
업데이트 2015-11-30 0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남 10개 업체 65% 불법 운영

“대학마다 과목별 반영비율이나 가중치 등이 천차만별인데,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학생에 맞춰 상담하니 학교보다 훨씬 정교합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A 대입 컨설팅 업체. 상담료가 1시간에 50만원이지만, 정시모집을 앞두고 주말에도 상담 예약 문의 전화가 끝없이 이어졌다. 업체 관계자는 “수능 원점수가 10점이나 낮은 학생이 더 좋은 대학을 가는 사례도 흔하다. 점수가 어정쩡하면 상담을 받는 게 좋다”면서 “수능 성적표를 받는 2일 이후부터 상담이 몰리기 때문에 서둘러야 한다”고 예약을 재촉했다.

다음달 24일부터 시작하는 대입 정시모집을 앞두고 고가의 불법 대입 컨설팅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29일 교육시민단체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강남 지역 10개 업체의 23개 대입 컨설팅을 분석한 결과 65.2%에 이르는 15개 프로그램이 분당 5000원인 교습비 기준을 초과했다. 분당 교습비 5000원은 입시 단과 학원의 수업료가 분당 125원, 보습과정이 분당 269원인 것을 고려할 때 각각 40배, 18.5배나 비싸다. 그나마 강남교육지원청만 기준이 있을 뿐, 다른 지역교육청은 기준조차 없는 실정이다.

고가인 데다 컨설팅 정보에 대한 진위 판별조차 어렵지만, 정시모집에서 떨어지면 사실상 재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애간장이 타는 학부모로서는 귀가 솔깃할 수밖에 없다. 기자가 1시간에 40만원을 받고 대입 컨설팅을 해주는 강남구 대치동의 B 업체에 문의한 결과 “이번 달 예약이 모두 끝났다”는 답이 돌아왔다. 이 업체 상담원은 “강남 지역의 대부분 컨설팅 학원들의 예약이 완료됐다”고 귀띔했다.

이들 업체 상당수가 학원이 아닌 벤처기업 등으로 등록해 운영되는 꼼수를 펴고 있다. 서울 서초동의 C 업체는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정시 컨설팅을 하며 60분에 66만원을 받는다. 분당 1만 1000원꼴이지만, 벤처 업체로 등록해 학생에 대한 교습 행위만 적용하는 학원법을 교묘히 피했다.

일반 학원으로 등록했다가 단속에 걸려 교습정지 처분 등을 받더라도 또다시 불법 컨설팅을 하는 등 악순환도 계속된다. 단속에 걸리고 나서 학원을 자진 폐원하고 대표자만 달리해 학원을 운영하거나, 교습정지·등록말소 등 처분을 받고서 동일 장소에 대표자나 학원명만 달리해 학원을 계속 운영하지만, 제재할 수 없는 실정이다. 사교육걱정 측은 “고액 컨설팅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현실성 있는 교습비 기준을 명확히 세우고, 학원법을 빠져나갈 수 없도록 학원법 조항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1-30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