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엄마 베트남 가족 보여주고 싶었어요”

“아이에게 엄마 베트남 가족 보여주고 싶었어요”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6-08-30 18:12
업데이트 2016-08-31 1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문화 도티후옌 가족의 친정 나들이

삼성생명 10년째 사업 후원
말 안 통해도 만나면서 정 쌓아

지난 23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버스로 1시간 30분을 달려 도착한 하남. 안남미가 익어가는 넓다란 논을 따라 2층짜리 시멘트 집들이 옹기종기 모인 한 베트남 농촌마을이 보인다. 2010년 한국에 시집 온 도티후옌(한국 이름 김윤아·30)이 꿈에도 그리던 고향 집이다. 이날은 도티후옌 가족을 보겠다며 친척 15명이 모여들었다. 분주해진 부엌은 벌써부터 고소한 잔치 음식 냄새로 가득하다. 이내 5평(16.5㎡) 남짓한 거실이 냄란(만두), 쟈오차(전통햄), 틱 과이(돼지 바비큐), 틱 가록(삶은 닭고기), 쟈 사오(나물볶음)까지 말 그대로 진수성찬으로 채워진다. 입맛에 맞는 듯 연방 냄란을 집어먹는 지수(6)와 승재(3)가 기특한지 외할머니 다오티홍(60)은 눈을 떼지 못한다. 함께 지낸 지 불과 3일째. 지수는 어느덧 외할머니의 ‘껌딱지’가 됐다. 병아리처럼 부엌에서 닭장으로, 닭장에서 다락으로 졸졸 따라다닌다.

이미지 확대
지난 23일 삼성생명의 ‘다문화아동 외가방문 지원사업’으로 베트남 외가를 찾은 지수가 외할머니(다오티홍) 입에 베트남 만두를 넣어주고 있다. 한국여성재단 제공
지난 23일 삼성생명의 ‘다문화아동 외가방문 지원사업’으로 베트남 외가를 찾은 지수가 외할머니(다오티홍) 입에 베트남 만두를 넣어주고 있다.
한국여성재단 제공
 도티후옌이 8살 되던 해 아버지는 부인과 어린 세 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혼자 농사를 짓는 엄마를 생각하면 고등학교를 다 마치는 건 사치라는 걸 직감해 한국 남자와의 결혼을 택했다. 착하고 인상 좋아 보여 선택한 남편(최봉용·42)을 따라 경남 창원에 온 지 6년. 두 아이의 엄마가 되면서 홀로 된 엄마가 사무치게 그리웠지만 사는 건 늘 녹록지 못했다.
 도티후옌 가족은 삼성생명이 후원하고, 한국여성재단이 주관하는 ‘다문화아동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선발돼 지난 20~28일 7박 9일 일정으로 외갓집을 찾았다. 올해로 10년째를 맞은 이 사업으로 지금까지 베트남, 필리핀, 몽골, 태국 출신의 한국 이주여성 가족 1042명이 외가를 방문했다. 국내 다문화가정은 지난해 말 현재 27만 8000여 가구로 전체 가구의 1.3%에 해당한다. 초기 이주여성 친정 방문으로 시작한 사업은 2013년부터 외가방문으로 이름을 바뀠다. 지수와 같은 아이가 국내 5만명을 넘어서면서 소외받는 다문화가정 아동 지원에도 좀더 힘을 쏟아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지수 가족이 외가 방문을 신청한 것도 지수 때문이다. “엄마도 가족이 있어?” 어느 날 갑작스러운 딸의 질문이 비수처럼 가슴에 꽂혔다. 엄마의 어릴 적 이야기를 자세히 설명해 줬지만 이해하지 못했다. 어렵사리 영상통화를 연결해 줘도 서로 말이 통하지 않으니 그뿐이었다. 딸아이는 엄마 나라를 마치 그림책 속에서나 있는 곳으로 여기는 듯했다. 도티후옌은 “엄마가 남들과 달라 아이가 의기소침하지는 않는지, 혹 차별을 당하지는 않는지 늘 걱정”이라면서 “더 크기 전에 엄마 고향이 어떤지, 외가 사람들도 얼마나 지수를 보고 싶어 하는지를 알려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외가 방문 첫날, 지수는 외할머니를 보자마자 준비해 온 하얀 종이쿠폰 3장을 쑥 내밀었다. “언제든지 쓰라”며 건넨 종이엔 삐뚤삐뚤한 베트남 글씨로 ‘안마,’ ‘안아주기’, ‘뽀뽀’라고 쓰여 있다. 여전히 말은 통하지 않는다. 그러나 손녀의 마음이 담긴 흰 쿠폰이 꼬깃꼬깃해질 만큼 둘은 가까워졌다.

하노이(베트남)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6-08-31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