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 71명 “‘갑질’ 교수 정직 3개월 수용 못해”

서울대 교수 71명 “‘갑질’ 교수 정직 3개월 수용 못해”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6-05 13:43
업데이트 2018-06-05 1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교수들이 ‘갑질’과 연구비 횡령 의혹이 제기된 사회학과 H 교수에 대한 징계위원회의 정직 3개월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대 교수 71명은 5일 ‘H 교수 사태에 대한 우리의 입장’ 성명을 내고 “부당한 업무지시, 성차별적 언행, 연구 지원금 횡령 등 혐의를 받는 H 교수에 대해 징계위가 재심의에서도 정직 3개월을 결정한 것은 수긍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앞서 사회학과 교수들이 낸 H 교수 복귀 거부 성명을 공감하고 지지한다”며 “문제를 제기한 학생들의 용기가 학문 공동체를 스스로 정화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대학이 교원 징계규정의 미비함을 핑계로 과거 관행대로 징계를 결정한다면 시대 변화를 읽지 못한 퇴행을 한 것과 다를 바 없다”며 “성낙인 서울대 총장이 학문 공동체의 이성과 양심에 따라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입장 발표는 누구를 단죄할 목적이 아닌 학문 공동체 전체가 바른길을 찾는 노력의 시작”이라며 “인권 감수성에 맞는 제도의 도입과 관행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 교수는 차량 운전 등 사적 지시를 학생에게 내리고 성희롱과 폭언을 한 의혹이 제기돼 2차례 열린 징계위에서 모두 정직 3개월이 의결됐다. 또 연구비 등 1천500만원의 공금을 횡령한 의혹으로 교육부 감사를 받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