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주년 광복절] 손바닥만한 엽서에 빼곡히 담긴 독립 염원 “안중근 의사 이을 민족 지도자는 누구인가”

[73주년 광복절] 손바닥만한 엽서에 빼곡히 담긴 독립 염원 “안중근 의사 이을 민족 지도자는 누구인가”

한준규 기자
입력 2018-08-14 23:04
업데이트 2018-08-15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흥사단 창단멤버 재미동포 양주은 선생, 안창호 선생에 보낸 스크랩 엽서 공개

‘다음, 이 자리는 누가 들어설까.’
독립운동가 양주은 선생이 1913년 3월 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이끌던 도산 안창호 선생에게 보낸 엽서 뒷면. 안중근 의사 등 독립운동가들의 사진과 신문 기사를 오려 붙인 선생은 여백(선 안)에 ‘이 자리는 누가 들어설까나’라고 써 조국 독립에 대한 염원을 드러냈다.  독립기념관 제공
독립운동가 양주은 선생이 1913년 3월 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이끌던 도산 안창호 선생에게 보낸 엽서 뒷면. 안중근 의사 등 독립운동가들의 사진과 신문 기사를 오려 붙인 선생은 여백(선 안)에 ‘이 자리는 누가 들어설까나’라고 써 조국 독립에 대한 염원을 드러냈다.
독립기념관 제공
1913년 3월 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대한인국민회의 도산 안창호(1878~1938)가 받은 엽서 한 장이 일제에 저항하던 한국인들의 애국심을 되살리고 있다.

흥사단 창단 회원이었던 양주은(1879 ~1981) 선생이 도산 안창호 선생에게 보낸 엽서로, 뒷면에 이준 열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민영환 열사, 장인환 의사, 안중근 의사 등 일제에 항거한 독립운동가들의 사진과 신문 기사가 붙어 있다.

가로 13.8㎝ 세로 8.8㎝ 크기의 작은 엽서에는 태극기가 게양된 워싱턴 주미대한제국공사관과 독립문 사진, 미국 네브라스카 헤이스팅스의 대한민국 소년병학교 교관 등의 사진과 신한민보 1910년 4월 1일 기사로, 오늘날 애국가를 ‘국민가’로 소개한 기사까지 빼곡하게 붙어 있다. 이어 1907년 일제에 의한 대한제국 군대의 강제 해산에 항거한 ‘박성환’ 의사와 항일 의병운동장이었던 면암 최익현 선생은 사진이 없어 글로 적었다.

양주은 선생은 이들 의사들을 열거한 맨 끝자리를 비워둔 채 ‘다음, 이 자리는 누가 들어설까’라고 물음으로 끝냈다. 나라를 되찾고자 하는 강렬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 엽서의 존재는 현재 미국 워싱턴에 머물고 있는 국외소재문화재재단 한종수 박사를 통해 13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양주은 선생은 1903년 말부터 3년간 미국 하와이의 사탕수수농장에서 일하다 1906년 4월 5일 샌프란시스코로 왔다.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에서 활동했고, 1913년 안창호의 흥사단 창단 때 ‘단우번호 6번’으로 조국 독립에 헌신했다.

한 박사는 “양주은 선생은 샌프란시스코에서 번 ‘돈’을 독립 자금과 한인 정착 등을 위해 모두 기부했고, 1908년 3월 23일 샌프란시스코의 장인환·전명운 의사의 친일 외교고문 스티븐스 저격 현장의 증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시 미국에 첫발을 내디딘 미주 한인들은 어렵고 힘든 삶 속에서도 ‘대한민국의 독립’을 염원하는 마음이 가득했다”며 “당시 대한인국민회 사무실이 미주 한인들이 우편물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장소였기 때문에, 양주은 선생이 의도적으로 후대들의 애국심 고취를 위해 손수 만든 엽서를 도산 선생에게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08-15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