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학생 컴퓨터 활용력 세계 최고…학습목적 활용은 적어

한국 중학생 컴퓨터 활용력 세계 최고…학습목적 활용은 적어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19-11-05 18:22
업데이트 2019-11-05 18: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컴퓨터 활용 문제 해결 12개국 중 1위
정보수집·생산·의사소통, 덴마크 이어 2위
컴퓨터 정보·소양 점수, 여>남 격차 커

한국 중학생들이 컴퓨터를 활용해 정보를 수집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는 5일 ‘2018 국제컴퓨터·정보소양연구’에서 한국 중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컴퓨터·정보 소양’ 평균 점수가 각각 536점과 542점으로 조사대상 국가 가운데 각각 1위와 2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밝혔다.

컴퓨터·정보 소양 1위는 덴마크로 평균점수가 553점이었다.

한국은 컴퓨팅 사고력과 컴퓨터·정보 소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성취도를 기록한 학생 비율이 각각 33%와 9%로 이 역시 여느 나라보다 높았다.

이번 연구는 한국과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미국, 우루과이, 이탈리아, 칠레, 카자흐스탄, 포르투갈, 프랑스, 핀란드 등 12개국 중학교 2학년생 4만 7000여명과 교사 2만 7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한국은 150개 중학교 학생 2875명과 교사 2159명이 참여했다.

‘컴퓨팅 사고력’은 컴퓨터를 활용해 문제를 인식한 뒤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컴퓨터·정보 소양은 컴퓨터로 정보를 조사·수집·생산하고 컴퓨터로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컴퓨터·정보 소양에서 한국 여학생 평균점수(563점)가 남학생(524점)보다 39점이나 높게 나타난 점도 눈길을 끈다.

한국은 조사 대상 국가 중 남녀 간 컴퓨터·정보 소양 평균점수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컴퓨팅 사고력 평균점수는 남학생(538점)이 여학생(534점)보다 높았지만, 차이가 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수준이었다.

다만 한국 학생들이 학교에서 학습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은 문제로 꼽혔다.

한국은 학교에서 하루에 한 번 이상 학습목적으로 ICT를 사용한 학생의 비율이 5%로 조사대상 국가 평균(18%)에 크게 못 미쳤다. 학교 밖에서 하루에 한 번 이상 학습목적으로 ICT를 사용한 비율도 한국은 10%로 평균(21%)보다 매우 낮았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