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킬 5년간 37% 늘어… 울타리 치고 내비가 위험구간 알려준다

로드킬 5년간 37% 늘어… 울타리 치고 내비가 위험구간 알려준다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7-06 01:52
업데이트 2020-07-06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물·사람 2차 사고 위험” 50곳 분석
“신고·처리 잘 이루어진 충청 46% 최다”

이미지 확대
동물들이 교통사고로 희생되는 로드킬(동물 찻길 사고)이 해마다 급증하자 정부가 저감 대책 추진에 나섰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국립생태원은 로드킬이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동물뿐 아니라 운전자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저감 대책’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먼저 지난해 정보 분석을 통해 선정한 동물 찻길 사고 다발 상위 50개 구간에 고라니 등 야생동물의 도로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유도울타리를 설치하기로 했다. 2022년까지 총 189㎞를 확충할 계획이다. 사고 다발 50개 구간은 모두 국도로 1㎞당 평균 7.1건이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충남(15구간)이 가장 많았다.

울타리 설치가 어려운 지역은 운전자들이 야간에도 인식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 주의표지판을 올해 20곳에 총 75개 설치한다. 또 내비게이션 업체에 구간 위치 정보를 제공해 음성 안내 및 주의표시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운전 중 음성으로 간단하게 신고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바로신고 시스템’ 시범사업을 충남에서 실시한 뒤 부처 협의를 거쳐 확대 시행키로 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로드킬 발생건수는 1만 9368건으로 2015년(1만 4178건) 대비 36.7% 증가했다. 최근 5년(2015~2019년)간 발생한 로드킬은 8만 2170건으로 국도에서 87.6%인 7만 1999건이 집중됐다. 국도는 1만 1637건에서 1만 7502건으로 50.4% 급증한 반면 고속도로 사고는 2545건에서 1866건으로 26.7% 감소했다. 권역별로는 충청권이 45.9%인 3만 3044건을 차지한 가운데 경상권(1만 5991건), 전라권(1만 9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유호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충청권의 로드킬 신고 및 처리가 상대적으로 잘 이뤄지는 것으로 평가됐다”며 “저감 대책을 신속히 추진해 야생동물과 인명 사고를 줄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20-07-06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