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일본뇌염까지…질본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코로나19에 일본뇌염까지…질본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7-23 19:22
업데이트 2020-07-23 2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  울산보건환경연구원 제공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
울산보건환경연구원 제공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됐다.

질병관리본부는 모기 감시·분석 결과 지난 20~21일 일본뇌염을 옮기는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부산 지역에서 경보 발령 기준 이상으로 채집돼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고 23일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 수를 분석했을 때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일 때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한다. 지난 3월 26일 주의보가 발령된 지 약 3개월 만이다.

올해 작은빨간집모기 주의보는 지난해보다 2주 빨라졌다.

다만 올해 국내에서는 일본뇌염에 걸린 환자가 나오지 않았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전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다.

모든 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리더라도 대부분은 증상이 없거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에 그친다.

그러나 일부가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 환자발생 현황 통계를 보면 일본뇌염 환자는 연평균 20명 내외로 발생하는데 90%는 40세 이상으로 파악된다.

환자는 주로 8∼11월에 발생한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발생한 환자 217명 가운데 87명(40%)은 9월에, 85명(39.1%)은 10월에 각각 나왔다. 지난해에는 8월 29일에 첫 환자가 나왔으며 총 34명이 감염돼 6명이 사망했다.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게 최선이다.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면역력이 낮거나 모기에 노출됐을 때 감염 위험이 큰 성인 역시 예방접종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

특히 여름철에는 야외 활동이 많아지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야외활동을 할 때는 밝은색의 긴 바지, 긴 소매 옷을 입어 피부가 노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옷이나 신발 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뿌리는 것이 좋고 야외 활동을 할 때는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이나 모기장을 사용하는 게 권장된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