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유입 34일째 두 자릿수…신규 확진 48명 중 해외유입 34명(종합)

해외유입 34일째 두 자릿수…신규 확진 48명 중 해외유입 34명(종합)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7-29 11:02
업데이트 2020-07-29 15: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여전히 바쁜 선별진료소
여전히 바쁜 선별진료소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8명 중 지역 발생 확진자가 5명으로 확인된(28일 0시 기준) 28일 오후 서울 중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방문자가 검사에 앞서 관계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0.7.28
연합뉴스
해외유입과 지역발생 사례가 모두 증가하면서 29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에 육박했다.

부산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 선박 내 집단감염이 계속 확산하는데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역감염이 산발적으로 이어지면서 최근 이틀간 20명대 수준의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50명대에 가까워졌다.

특히 한 자릿수에 머물면서 안정세를 찾아가는 듯한 지역발생 사례도 다시 두 자릿수로 올라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8명 늘어 누적 1만 4251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27~28일 이틀 연속 20명대(25명→28명)에 머물렀지만, 이날 다시 40명대 후반까지 늘어났다.

해외유입 34일째 두자릿수 이어가
이달 들어 신규 확진자는 20~6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다만 지난 25일에는 이라크 건설 현장에서 귀국한 우리 근로자와 러시아 선박 집단감염이 겹치면서 이례적으로 113명까지 늘어나기도 했다.

이날 신규 확진자 48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해외유입이 34명으로 지역발생 14명의 2배를 넘었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25~26일 이틀간 86명, 46명까지 급증했다가 이후 16명, 23명으로 다소 줄었으나 이날 다시 34명으로 증가했다. 지난달 26일 이후 34일째 두 자릿수로 집계되고 있다.

해외유입 확진자 34명 가운데 21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발견됐다. 나머지 13명은 경기(6명), 서울·인천(각 2명), 광주·울산·경북(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확진자가 유입된 국가를 보면 러시아가 13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미국 8명, 우즈베키스탄 7명, 카자흐스탄 2명, 프랑스·인도·이라크·필리핀 각 1명이다. 러시아의 경우 앞서 선원 30여명이 무더기로 확진된 러시아 어선 페트르원호(7733t·승선원 94명)에서 선원 12명이 추가로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수도권 중심 산발적 감염…부산은 러 선박 수리 관련
지역발생 확진자는 14명으로, 26일(12명) 이후 사흘 만에 다시 두 자릿수로 늘어났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이달 들어 20일(4명), 27일(9명), 28일(5명) 등 세 차례 한 자릿수로 떨어졌었다.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서울 7명, 경기 5명, 인천 1명 등 수도권이 13명을 차지해 여전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확산세가 지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16일 부산 영도구 한 수리조선소에 정박한 러시아 선적 원양어선 레귤호(825t) 주변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부산국립검역소는 지난달 감천항에 입항했다가 이 조선소로 옮긴 레귤호에서 러시아 선원 3명이 이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부산 연합뉴스
16일 부산 영도구 한 수리조선소에 정박한 러시아 선적 원양어선 레귤호(825t) 주변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부산국립검역소는 지난달 감천항에 입항했다가 이 조선소로 옮긴 레귤호에서 러시아 선원 3명이 이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부산 연합뉴스
그 외에 부산에서도 1명이 나왔다.

서울의 경우 종로구 신명투자, 송파구 지인 모임 등에서 기존 확진자와 접촉한 이들이 잇따라 감염되면서 확진자 규모가 불어나는 상황이다. 부산에서는 전날 러시아 선박 수리업체 직원의 가족 1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해외유입(검역 제외)과 지역발생을 합치면 서울 9명, 경기 11명, 인천 3명 등 수도권에서만 23명이 나왔다. 전국적으로는 7개 시·도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한편 사망자는 늘지 않아 누적 300명을 유지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