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경로 불분명’ 환자 역대 최고치…“역학조사 한계 상황”(종합)

‘감염경로 불분명’ 환자 역대 최고치…“역학조사 한계 상황”(종합)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8-30 15:33
업데이트 2020-08-30 15: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구 ‘코로나19 방역’ 비상
대구 ‘코로나19 방역’ 비상 대구지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가 30명으로 늘어난 30일 오후 동구 방역기동반이 집단으로 확진자가 나온 대구 사랑의 교회 주변을 소독하고 있다. 2020.8.30
뉴스1
국내 코로나19 재확산 상황이 2주 넘게 지속되면서 방역당국의 역학조사 역량이 한계치에 이르고 있다.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거나 역학조사가 완료되지 않은 ‘불분명 환자’ 비율이 21%를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방역당국은 “역학조사가 한계에 이르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감염경로 ‘조사 중’ 사례 21.5%…역대 최고치
30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불분명 환자’ 비율은 21%를 넘어 방역당국의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17일부터 이날 0시까지 방역당국에 신고된 확진자 4381명 가운데 감염 경로를 ‘조사중’인 사례는 942명으로, 21.5%를 차지했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경증, 무증상 감염이 있는 상황에서 누구로부터 감염됐는지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신규 환자 보고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며 “n차 전파를 만들지 않기 위해 가능하면 24시간 이내에 접촉자를 찾아내고 격리하는 등 조사 및 격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확진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상황에서는 역학조사 역량이 한계에 다다를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수도권의 경우 하루 확진자 수가 많이 증가하고 있어 역학조사 지원팀을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한계에 다다르는 상황”이라며 “확진자 규모는 물론 사람 간 만남이나 접촉을 줄여야 역학적 대응도 더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2주간 확진자 1명이 1.5명 감염
최근 2주간 확진자 1명이 1.5명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집계돼 환자가 계속 늘어나는 상황에 놓여 있는 것도 문제다.

방대본에 따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번 유행 확산세가 본격화 한 8월 중순 이후(8.16∼29) 집계된 ‘감염 재생산지수’(전파력) 평균치는 1.5다. 재생산지수가 1.5라는 것은 환자 1명이 주변의 1.5명을 감염시킨다는 뜻이다.

이 숫자가 1 미만이면 방역 효과로 신규 확진자가 줄어들지만, 1 이상이면 방역에 구멍이 뚫린 상태여서 환자는 더 늘어나게 된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