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 단체행동 접고 학교로…국시 재응시는 불투명(종합)

의대생들 단체행동 접고 학교로…국시 재응시는 불투명(종합)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9-14 15:07
업데이트 2020-09-14 15: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맹휴학 철회 후 복귀 수순 들어가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 등에 반발해 대한의사협회가 2차 총파업에 들어간 26일 대구 남구 영남대학교병원 본관 앞에서 한 의대생이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이유를 적은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 등에 반발해 대한의사협회가 2차 총파업에 들어간 26일 대구 남구 영남대학교병원 본관 앞에서 한 의대생이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이유를 적은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추진 등 정부의 의료정책을 반대해 동맹휴학과 국가고시 거부 등 단체행동에 나섰던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간다.

14일 의대생들을 대표하는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성명문을 내고 “이날 오전 보건의료정책 상설감시기구의 발족으로 협회의 목표를 달성했기에 모든 단체행동을 공식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여당과 공공의대 및 의대정원확대의 원점 재논의 명문화를 이룬 과정은 (절차적 문제가 있어) 유감이지만, 이에 대한 우리의 실망보다 더 나은 의료와 국민의 건강이 우선이라 판단했다”고 말했다.

의대협은 이어 “숙의 끝에 선배 의료인과 합심해 의·정 합의문의 성실한 이행을 지켜봐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다면서도 “또다시 국민의 건강권을 위협하는 정책이 강행된다면 언제든 단체행동을 불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협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학생들의 결정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존중한다”며 “(정부·여당에) 합의문의 성실한 이행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동맹휴학에 나섰던 예과 1학년생부터 본과 3학년생들은 휴학계를 철회하고 학교로 돌아갈 전망이다. 이미 주요 대학 개강일이 2주 지났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영향으로 휴학계 수리 및 철회 기간이 길어져 대부분 복귀가 가능한 상황이다.
이미지 확대
사진은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이 열리는 서울 광진구 소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20.8.31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사진은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이 열리는 서울 광진구 소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20.8.31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다만 의사 국가시험(국시) 응시를 거부한 본과 4학년생들이 시험을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당사자들이 자유의지로 시험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추가시험을 검토할 필요성은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의대협도 집단행동 중단이 곧 국시를 응시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조승현 의대협 회장은 “국가고시 거부를 포함한 단체행동을 중단하는 건 맞지만, 지금 국시를 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재응시 뜻을 표한 건 아니”라고 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