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들섬을 아시나요?’…당진 삽교천 무명 섬 이름 얻었다

‘소들섬을 아시나요?’…당진 삽교천 무명 섬 이름 얻었다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입력 2020-09-14 16:22
업데이트 2020-09-14 1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들섬’을 아시나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서거한 1979년 10월 26일 마지막으로 참석했던 삽교천 방조제 준공식 이전에 조수간만의 차로 아산만 바닷물이 드나들며 자연적으로 조성된 삽교천의 무명 섬이 40여년 만에 이름을 얻었다.
이미지 확대
무명이었다 새 이름 얻은 소들섬. 당진시 제공
무명이었다 새 이름 얻은 소들섬. 당진시 제공
충남 당진시는 14일 시와 도 지명위원회를 거쳐 국가지명위에 ‘소들섬(우강면 신촌리 495번지)’ 지명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섬은 축구장 면적의 24배인 17만㎡에 이른다. 섬은 방조제가 건설되기 전 바닷물이 내륙 깊숙히 드나드는 물 흐름으로 모래가 쌓여 만들어졌다. 방조제에서 1.5㎞ 상류에 있지만 가까운 제방에서는 300m 정도밖에 안 떨어져 있다. 방조제가 만들어지기 전 바닷물이 드나들 때는 이합조개가 지천이었다. 칼국수 등에 넣어 먹었다. 섬 앞마을 강문리 이장 신현철(62)씨는 “썰물 때 섬이 물 밖으로 드러나면 헤엄을 쳐 건너가 조개를 잡아왔다”면서 “민물 호수인 지금은 조개도 없고 물 속에 잠길 일도 없다”고 말했다. 4~5년 전까지 한 주민이 농기구 등을 배에 싣고가 벼농사를 지었지만 그만두면서 요즘은 철새들의 천국으로 변했다.

섬이 생겼지만 별다른 이름이 없어 주민들에게 ‘무명섬’이라고 불리다 2016년 삽교천 관광사업 움직임이 일면서 우강면 주민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섬 이름 지어주기 활동이 시작됐다. ‘소들섬’은 충남의 대표적 곡창지대인 우강면 소들 평야에서 딴 것이다. 수차례 있은 주민토론회는 물론 주민 1500여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70.3%가 이 이름에 압도적으로 찬성했다.

이장 신씨는 “삽교천방조제에서 호수변을 따라 길게 자전거 도로가 나 있고 생태공원도 만들어져 있다”면서 “육지와 부교(浮橋)나 출렁다리 등으로 연결하면 소들섬이 삽교천 생태공원의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들섬과 예당평야 일대는 계절에 따라 푸르고 황금색으로 변하는 들판과 철새, 그리고 다양한 먹을거리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이라고 했다.

당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