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환자 응급실 체류 평균 6시간…여전히 과밀한 응급실

중증환자 응급실 체류 평균 6시간…여전히 과밀한 응급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11-27 14:32
업데이트 2020-11-27 14: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응급실. 사진=연합뉴스
응급실. 사진=연합뉴스
치료가 시급한 중증환자가 응급실에 머무는 평균 시간이 6시간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급의료서비스 개선 노력이 이뤄지고 있지만, 응급실 혼잡도는 여전하다.

27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발표한 ‘2019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에 따르면 중증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한 뒤 퇴실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권역응급의료센터가 5.9시간, 지역응급의료센터가 6.1시간 등으로 6시간 내외였다. 전년도 중증 환자의 응급실 재실 시간이 각각 권역 6.8시간, 지역 6.3시간이었던 것에 비하면 개선된 수치지만, 뚜렷한 변화를 보이진 않았다.

내원 환자 수와 재실 시간을 고려해 병상 이용률의 과밀 정도를 계산한 ‘병상 포화 지수’는 지난해 권역 응급의료센터가 65.6%으로 파악됐다. 전년(68.0%)보다는 포화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지역응급의료센터는 포화지수가 44.1%에서 46.1%로 2%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중증 응급환자를 적정 시간 이내에 전문의가 직접 진료한 비율은 권역응급의료센터가 83.1%, 지역응급의료센터가 90.3% 등으로 모두 전년보다 개선됐다.

조사 대상은 권역응급의료센터 35곳, 지역응급의료센터 125곳, 지역응급의료기관 239곳 등 399곳이다.

복지부는 이번 평가 결과 필수 영역인 지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C등급’을 받은 응급의료기관 22곳에는 관할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등 행정조처를 내렸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