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굴 뽑아도 똑같아… 기권 부추기는 정치

누굴 뽑아도 똑같아… 기권 부추기는 정치

박상연 기자
박상연, 곽소영 기자
입력 2022-06-02 20:52
업데이트 2022-06-03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방선거 역대 두 번째 낮은 투표율… 유권자들의 이유 있는 투표 포기론

경기 안양에 사는 직장인 심모(42)씨는 지난 1일 고민 끝에 투표소를 찾지 않았다. 평소 정치에 관심이 많아 2000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 선거 때마다 한 번도 빠지지 않고 투표했다는 심씨는 2일 “학교 다닐 때 ‘투표해야 성숙한 시민’이라고 교육받아 투표를 안 하겠다는 결정도 쉽지 않았다”면서도 “등 떠밀려 투표하기보다 후보를 선택하지 않는 것도 내 선택이라는 생각에 처음으로 적극적 기권을 했다”고 말했다.

6·1 지방선거 투표율이 역대 지방선거 중 두 번째로 낮은 50.9%로 집계되면서 저조한 투표 배경을 놓고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유권자 2명 중 1명이 투표를 하지 않은 건 누구를 뽑아도 바뀌지 않는다는 ‘학습된 무기력’ 때문이란 의견과 함께 “정치가 내 삶에 와닿지 않는다”는 괴리감도 작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40대 직장인 정모(46)씨는 “투표를 안 하면 흔히 ‘스스로 권리를 행사하지 않았으니 욕도 하지 못한다’는 반응이고 ‘차선’이나 ‘차악’이라도 선택하라고 한다”면서 “투표는 최선을 찾는 행위이기 때문에 내가 생각하는 최선의 정치인과 정책이 없으면 차선·차악을 선택하지 않고 투표하지 않는 것이 내 권리”라고 말했다.

정치권의 빈 공약과 변하지 않은 현실에 허탈감을 느낀 이들도 많았다. 직장인 안모(26)씨는 “이른바 진보 정당이 비정규직·불평등 문제 등에 대해 급진적인 정책을 내고 제대로 홍보하길 바랐지만 눈길 가는 공약이 없었다”면서 “내 한 표가 ‘지지’로만 읽혀 정당 내부의 혁신과 반성을 저해할 거란 우려도 있었다”고 말했다.

간호사 김모(51)씨도 “대선 당시 관심도 높았는데 그럼에도 나를 둘러싼 현실이 전혀 변하지 않는 걸 경험하면서 공약을 읽고 투표할 의욕 자체가 사라졌다”고 토로했다.

정치가 내 삶을 책임져 줄 것 같지 않다는 실망감도 투표 포기자들이 느끼는 공통된 감정이다. 대학생 이모(26)씨는 “이번 선거가 ‘정치인만의 축제’ 같았다”며 “시·구의원은 영향력이 없어 바뀌어도 체감되지 않고 시장이나 구청장의 공약도 포퓰리즘 정책이 많아 정치인 좋은 일만 시켜 주는 것 같아 괘씸하다는 생각이 컸다”고 전했다.

직장인 문모(32)씨도 “정책보단 정당 위주의 묻지마식 투표도 싫증 나고 결국 거대 양당 간의 싸움일 뿐 내 일상에 돌아오는 변화는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김윤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는 “의도적으로 투표하지 않은 행위도 적극적인 정치 의사 표현의 하나로 볼 수 있다”면서 “선거 제도 관련 논의에서 투표지에 ‘기권’ 항목을 만들자는 제안도 나온다”고 설명했다.

박상연 기자
곽소영 기자
2022-06-03 15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