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를 지지하는 어른이 있다는 것 자체로 희망이 됐어요”

“나를 지지하는 어른이 있다는 것 자체로 희망이 됐어요”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2-09-08 15:47
업데이트 2022-09-10 07: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립준비청년에게 필요한 것은
위기 상황 속 손 내밀 사람

자립준비청년이 당당하게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을 수 있도록 세밀한 심리·정서적 지원책이 필요하다. 사진은 경남의 한 아동양육시설에 지내는 고등학생이 보육사와 손을 잡고 있는 모습.
자립준비청년이 당당하게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을 수 있도록 세밀한 심리·정서적 지원책이 필요하다. 사진은 경남의 한 아동양육시설에 지내는 고등학생이 보육사와 손을 잡고 있는 모습.
아동양육시설(보육원)을 퇴소한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은 공과금 납부 등 사소한 것부터 주거처럼 굵직한 문제까지 다양한 어려움을 마주한다. 홀로서기를 하는 이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문제가 있다. 바로 심리적 외로움과 불안감이다. 최근 자립준비청년들이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이 잇따르면서, 세밀한 지원을 요구하는 사회적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자립준비청년의 ‘일촌’은 퇴소 전 만난 친구
자립준비청년들이 평소 주변 인물로부터 겪은 긍정·부정적인 경험은 자립 의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아름다운재단이 자립준비청년 121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20~30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들이 정기적으로 만나거나 연락을 주고받는 사람은 퇴소 전 만난 학교·학원 친구(22%), 함께 생활했던 친구(20%) 등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재단의 ‘열여덟 어른’ 캠페인인 ‘강영아 프로젝트’의 하나로 진행됐다. 캠페이너로 활동하는 강영아씨는 자립준비청년들의 관계망 형성을 지원하고 있다.

조사에서 퇴소 전 학교·학원에서 만난 친구가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는 답변은 30%로 나타났다. 시설 원장님·선생님 등 시설 내 어른은 22%로 뒤를 이었다. 조사에 참여한 한 자립준비청년 A씨는 “제 꿈을 위해 피아노 학원을 다니고 싶었는데 결연비가 부족해 못 다님에도 불구하고 시설 선생님이 적극적으로 원장님을 설득하고 의지를 북돋아 줬다”며 “나를 지지하는 어른이 있다는 것 자체로 희망이 됐다”고 말했다.

반면 주변인으로부터 들은 부정적인 말이나 경험은 상처가 된다. B씨는 “전교회장에 나가고 싶었는데 부모님이 없어서 조금 어려울 것 같다는 말이 아직 상처로 남아있다”고 했다. C씨는 “보호종료아동이 아닌 다른 사람들과 지내다보면 현재 내 생황을 알게 된다”며 “가족도 없고 확실하게 내 편도 없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에 재단은 “시설 관계자, 선후배 등과 보다 긍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며 “건강한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주변 관계자들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보호대상아동은 만 18세(보호 연장 선택 시 만 24세)가 되면 보육원을 퇴소해야 한다. 사진은 한 자립준비청년이 자립 후 마련한 집에 물건들이 어지럽게 쌓여 있는 모습. 아름다운재단 제공
보호대상아동은 만 18세(보호 연장 선택 시 만 24세)가 되면 보육원을 퇴소해야 한다. 사진은 한 자립준비청년이 자립 후 마련한 집에 물건들이 어지럽게 쌓여 있는 모습.
아름다운재단 제공
● 위기 상황시 도움 요청 창구 필요
자립준비청년들이 퇴소 후 몸이 아플 때 크고작은 위기를 겪는다. 대부분 혼자 살기 때문에 응급 상황에서 도움을 구할 대상이 없고, 치료가 필요해도 경제적인 문제로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 도움을 요청할 상황에 닥쳤을 때 언제든 손을 내밀 수 있는 ‘도움 창구’가 필요한 이유다.

실제로 자립준비청년 4명 중 1명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으로 조사댔다. 응답자의 26%는 경제 문제에 대해, 17%는 보호자가 필요한 수술 등 건강문제에 직면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했다. 취업, 진로 고민을 나눌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10%로 조사됐다. ‘도움을 받거나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인가’라는 질문에는 ‘1~2명’(43%)이 가장 많았다.

휴대전화 연락처에는 퇴소 후 만난 비자립준비청년(76%)이 더 많지만, 집을 구해야 하는 등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는 보호받던 시설의 어른(22%)이나 함께 생활하던 친구(14%) 등을 찾는 양상을 보였다.

재단은 “공공, 민간 지원 뿐 아니라 당사자 커뮤니티 등 사회적 도움도 마련돼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자립준비청년들을 보통의 청춘으로 바라보며 건강하게 잘비해 갈 수 있도록 사회적 안전망이 갖춰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장진복 기자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