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00만원 이상 받는 연금 수급자
지난해 11월 기준 5만명 육박, 전체 0.7%
전체 수급자 평균 수령액은 65만원
연금만으론 최소 생활비 충당 불가능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 종합상담실에서 시민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매달 받는 연금 급여만으로 노후 적정 생활비(192만 1000원)을 충당할 수 있는 노인은 전체 수급자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저 남성이 98.2%로 남녀간 격차가 크고, 아직 절대 다수가 월 65만 정도의 쥐꼬리 연금을 받는 실정이다.
11일 국민연금공단의 ‘2024년 11월 기준 국민연금 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월 200만원 이상의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4만 9374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수급자 699만 5544명의 0.7%이다. 이중 남성이 4만 8489명(98.2%)이고, 여성은 885명(1.8%)에 불과했다. 1988년 국민연금제도 시행 초기에는 직장에 다니는 여성이 많지 않았고, 이마저 결혼과 출산으로 경력 단절을 겪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이 길수록, 낸 보험료가 많을수록 노후에 받는 액수가 는다. 국민연금 제도가 무르익으면서 연금으로 월 2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얻는 수급자가 2018년 10명, 2019년 98명, 2020년 437명, 2021년 1355명, 2022년 5410명, 2023년 1만 7810명으로 급증하고 있지만, 전체 수급자가 다달이 받는 평균 수급액은 아직 월 65만 6494원에 불과하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제10차 국민노후보장 패널조사’를 보면 50세 이상 중장년층이 건강한 상태에서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개인 기준 노후 최소 생활비는 월 136만 1000원, 적정 생활비는 192만 1000원이다. 여전히 우리나라 연금 수급자들은 노후 생활비를 대기에 턱없이 부족한 연금을 받는 것이다. 월 100만원 이상 연금을 받는 사람도 지난해 11월 말 기준 86만 4398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12.4% 수준에 그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