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전국서 지반침하사고 957건..원인 하수관 손상 최다

5년간 전국서 지반침하사고 957건..원인 하수관 손상 최다

남인우 기자
남인우 기자
입력 2025-03-26 14:37
수정 2025-03-26 14: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 현장.강동구 제공
지난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 현장.강동구 제공


지난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 도로 한복판에 발생한 대형 땅꺼짐(싱크홀)으로 1명이 숨지면서 싱크홀 공포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가 900건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국토부 지반침하 사고 통계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전국 17개 시도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가 957건에 달한다.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97건으로 가장 많고, 광주 122건, 부산 85건, 서울 81건 순이다. 뒤를 이어 전북 70건, 강원 68건, 대전 66건, 경남 55건, 충북·경북 각각 51건이다.

지반침하 사고 원인은 하수관 손상이 446건(46%)으로 가장 많았고, 다짐(되메우기) 불량이 171건(18%)으로 뒤를 이었다. 굴착공사 부실(82건), 기타 매설물 손상(64건) 등도 원인으로 조사됐다.

건설 공사로 인한 주변 지하수 영향, 빗물 유입에 따른 토사유출, 침하 발생 등도 원인으로 분석됐다.

지반침하 사고를 월별로 살펴보니 8월 241건, 6월 138건, 7월 130건 등 전체 사고의 53%인 509건이 집중호우가 내리는 6·7·8월에 집중됐다.

2023년에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만을 분석해도 결과는 비슷하다.

하수관 손상 원인이 69건으로 가장 많고, 최다 발생지역은 광주(28건)로 조사됐다. 2023년 울산과 세종, 충남에선 단 한 건의 지반침하 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해 역시 6·7·8월에 전체 사고의 51%가 집중됐다.

지반침하 전조 증상은 크게 네 가지다.

도로나 보도블록이 울퉁불퉁해지거나 도로 표면이 움푹 들어가는 현상, 또는 도로에서 물이 갑자기 솟아나거나 도로 일부가 젖어있는 현상 등이 전조증상에 해당된다.

최근 지하 매설물 공사를 한 구간이 가라앉는 등 표면에 높낮이 차이가 발생하거나 건물과 지표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해도 공동 조사에 나서야 한다.

지자체 관계자는 “지하개발사업자 또는 지하 시설물 관리자는 지반침하사고 발생 시 응급안전 조치를 해야 한다”며 “면적 1㎡ 이상 또는 깊이 1m 이상 사고이거나 사망자, 부상자, 실종자가 발생하면 지자체에 보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