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상욱 교육매니저가 전하는 중간고사 준비 노하우

노상욱 교육매니저가 전하는 중간고사 준비 노하우

입력 2010-04-20 00:00
업데이트 2010-04-20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첫 중간고사가 1~2주 앞으로 다가왔다. 상급 학교·학년에 진학한 뒤 내신에 반영되는 첫 시험이다. 또 스스로의 수준을 점검하고, 남은 기간 동안의 학습목표를 정하는 계기가 되는 시험이기도 하다. 입시 전문가들은 이번 중간고사를 내신 관리법을 배우는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투스청솔 교육컨설팅 노상욱 교육매니저는 “중간고사 준비를 하기 전에 1년 동안의 학사 계획을 달력에 표시해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해야 한다. 또 시험기간까지 공부할 수 있는 자기학습 시간이 몇 시간인지 가늠해 둬야 한다.”고 두 가지를 먼저 제시했다. 자기학습 시간은 학교·학원·과외·수행평가·숙제 시간을 빼고 오롯이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고 했다. 노 매니저의 조언을 6단계로 나눠 정리한다.

이미지 확대
노상욱 교육매니저
노상욱 교육매니저
3번 읽기 예체능 과목을 제외한 전 과목을 시험 2주 전까지 최소한 3차례씩 읽고 숙지하는 게 좋다. 3차례를 읽을 때에는 훑어보기-연필을 사용하여 주요사항 줄 긋기-형광펜을 사용해 다시 한번 줄 긋기 과정을 거치며 보는 게 지루하지 않다. 훑어보기 단계에서는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한다. 연필을 사용해 줄을 그을 때에는 스스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이나 이해가 더딘 부분에 줄을 그어 놓는다. 책을 덮고 줄을 그은 부분을 요약해 보면 실제로 관련 내용이 흡수됐는지 가늠해 볼 수 있다. 형광펜으로 줄을 그으며 읽을 때에는 상세한 내용까지 놓치지 않도록 꼼꼼하게 읽어야 한다.

요약하기 충분하게 교과서와 참고서 내용을 익혔으면 4~5일 동안 스스로 요약을 해본다. 그리고 참고서에 있는 요약본과 다른 점을 비교해 본다. 스스로 만든 요약본과 참고서 요약본의 합본을 만든다. 주의할 점은 요약본을 만드는 게 단순히 손으로 요점을 옮기는 게 아니라 읽기를 통해 머릿속에 정리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보기 이어 3~4일 동안은 여러 문제를 본다. 문제를 풀고 답을 맞히는 게 아니라 정독하고 요약한 개념들이 어떤 식으로 문제화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그러니까 그야말로 문제를 보기만 해야 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특히 개념별로 주로 나오는 문제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재요약 및 암기하기 자신의 요약노트가 제대로 요약되었는지 확인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개념이나 내용이 많이 문제화되어 있다면 그 부분을 다시 읽고 요약노트에 첨가해 4~5일 동안 내용을 암기한다. 완벽하게 암기를 요하는 내용은 시각·촉각·청각 등 최대한 많은 감각을 활용해 완벽하게 암기하는 게 중요하다.

문제풀기 이 과정은 진짜 문제를 푸는 과정으로, 머릿속에 담은 내용이 정확한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기존 학습방법이 문제를 풀며 내용을 익히는 데 치중했다면,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이 내용이 정확한지 확실히 짚어야 한다. 첫 시험일 이틀 전부터 첫 시험일 과목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푸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첫 시험을 잘 봐야 그 시험에 자신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재요약 및 암기 시험기간, 각 과목 시험일 전날 집중적으로 해야 하는 일이다. 특히 문제풀이 과정에서 틀렸거나 몰랐던 내용을 집중적으로 역추적해서 재요약을 해본다. 한 번 틀린 내용은 꼭 다시 틀리므로 개념부터 철저히 익힐 필요가 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4-20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