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의 [  ] 때문에 캠퍼스 간 해외 거물들

대학과의 [  ] 때문에 캠퍼스 간 해외 거물들

이슬기 기자
입력 2015-11-09 23:06
업데이트 2015-11-10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림손은 국민대, 올랑드는 이화여대, 하토야마는 서울대로…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 올라퓌르 라그나르 그림손 아이슬란드 대통령 등 해외 거물 정치인들의 국내 대학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이 여러 대학 중에서 유독 특정 대학을 골라서 가는 것은 왜 그럴까.

이미지 확대
그림손 아이슬란드 대통령은 9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한·아이슬란드 정상회담을 한 후 국민대를 방문해 유지수 총장으로부터 명예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민대 측은 “1996년부터 아이슬란드의 5선 대통령으로서 군대를 보유하지 않고도 폭넓은 국제 관계로 평화를 유지하는 수준 높은 정치력을 보여 주고 있다”며 학위 수여 이유를 밝혔다.

그림손 대통령의 국민대 방문에는 1977년부터 39년째 주한 아이슬란드 명예 총영사를 역임해 온 조해형 전 국민대 이사장의 역할이 컸다는 후문이다. 국민대 관계자는 “한국에는 아이슬란드 대사관이 없어 베이징의 대사관과 연락하며 일정을 조율하느라 애를 먹었다”고 전했다.

보통 외국 정상의 대학 방문은 해당 국가의 대사관에서 본국의 요구나 자국과의 연관성 등을 고려해 추진한다. 지난 4일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이화여대 방문이 그런 경우다. 한·불 수교 이후 프랑스 대통령이 방문한 첫 국내 대학인 이화여대는 국내 대학 중 가장 많은 프랑스 교환 학생을 유치하고 있다. 이화여대를 상징하는 건물인 ECC(Ewha Campus Complex)를 프랑스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가 설계했다는 점도 고려됐다. 이화여대 관계자는 “프랑스 대사관 측에서 우리 학교뿐만 아니라 연세대 등 여러 대학을 동시 접촉한 것으로 안다”며 “특히나 파비앙 페논 주한 프랑스 대사는 열흘 사이에 4번이나 본교를 방문해 사전 조사를 할 정도로 열의를 보였다”고 말했다.

대학이 가진 인적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현역이 아니라 퇴임한 정상을 섭외할 때는 더욱 그렇다. 지난 5일 하토야마 전 일본 총리의 서울대 특강을 추진한 강명구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장은 “광복 70주년이 되도록 한·일 관계가 경색을 거듭하고 있는데 그 해법을 들어 보기 위해 다섯 달 전부터 접촉했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도쿄대, 와세다대 등에서 강의하면서 확보한 개인적 학맥을 통해 섭외했다”고 말했다.

학교 특성상 해외 ‘VIP’들의 선택을 자주 받는 곳도 있다. 서울대는 국내 최고 학부라는 명성에 걸맞게 각국 정상뿐 아니라 노벨상 수상자, 정보기술(IT) 업계 거물 등 다양한 해외 인사가 찾는다. 지난해 7월에는 중국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서울대에서 강연했다.

40여개가 넘는 각국 언어가 전공으로 개설돼 있는 한국외대도 VIP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2012년 9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방문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모았다. 한국식 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오바마 대통령의 의중과 함께 캠퍼스가 비교적 작아 경호에 용이하다는 점도 고려됐다.

외국 정상들의 대학 방문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대학 관계자는 “외국 정상의 경우 청와대에서 경호를 맡기 때문에 각종 의전 등 실무자 입장에서는 신경 쓸 것이 많다”면서도 “유명 인사가 학교를 방문할 경우 대내외적인 홍보 효과가 확실하기 때문에 유치 경쟁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른 대학 관계자는 “거물급 정치인들이 방문하면 대학 인지도가 올라가 QS 등 세계적으로 공신력 있는 대학 평가 순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5-11-10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