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블루오션’ 특성화 학과를 가다] “새 시장 각광받는 북·남미 철도기관과 학생 교류 추진할 것”

[취업 ‘블루오션’ 특성화 학과를 가다] “새 시장 각광받는 북·남미 철도기관과 학생 교류 추진할 것”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5-11-19 23:10
업데이트 2015-11-20 0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문석 한국교통대 철도대학 학장

유럽과 아시아를 하나로 잇는 핵심은 ‘교통’이다. 유라시아 시대를 맞아 철로가 새삼 주목받는 이유다. 한국교통대 의왕캠퍼스는 이를 위한 최적의 학과들로 구성됐다. 철도대학 송문석 학장은 “철도 선진국인 유럽을 비롯해 북미나 남미의 대학들과의 교류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송문석 교통대 철도대학 학장
송문석 교통대 철도대학 학장
→단과대학으로서 철도대학은 어떤 곳인가.

-철도라는 하나의 특화된 산업을 목표로 설립됐다. 이과든 문과든 상관없이 철도 기술 자체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 철도 기술의 발전 현황 및 방향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인재를 길러내는 게 목표다.

→철도경영물류학과가 다른 대학 유사학과에 비해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100년 넘게 지속되어온 한국철도대학의 교육과정, 동문들 네트워크, 그리고 현장 실습제도 등을 그대로 이어왔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유사학과 중 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다. 물류 분야에 대한 충분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철도만이 아닌 순수 물류분야 진출도 용이하다.

→현장 실습제도는 어떤 형태로 진행되는지.

-한국교통대가 고용노동부에서 시행하는 ‘IPP형 일학습병행제’에 선정됐다. 철도경영물류학과는 관련 사업단에 소속돼 있어 3, 4학년 학생이 한 학기 동안 장기 현장실습을 나갈 때 매월 40만원의 실습수당을 지급한다. 올해 해양수산부에서 시행하는 ‘해운항만물류인력네트워크 강화사업’에도 선정됐다. 내년부터 자체적으로 취업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철도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설명해 달라.

-현재까지는 유라시아 지역 교통대학과의 단기 인적 교류에 치중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철도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유럽지역 대학, 새로운 철도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는 북미·남미 대륙의 대학 및 철도기관과의 교류에 힘쓸 예정이다. 이에 따른 교환학생의 확대와 공동연구 등 좀더 실질적인 학생들 간의 교류도 절실하다.

→철도대학에 지원하려는 학생들에게 한마디 한다면.

-환경, 에너지 문제 등을 해결할 교통수단으로서 철도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히 한국은 남북철도연결, 대륙철도 진출이라는 원대한 꿈이 있다. 단순히 취업에만 관심 있는 학생보다 철도에 대한 관심과 의지, 꿈이 있는 학생들이 많이 지원하기를 기대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1-20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