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앞바다서 신종·미기록 무척추동물 6종 첫 발견

제주 앞바다서 신종·미기록 무척추동물 6종 첫 발견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8-09-26 22:28
업데이트 2018-09-26 2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주 앞바다에서 무척추동물의 새로운 종과 국내 기록에 없던 종이 대거 발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제주 바닷속에서 세계적으로 한 번도 발견되지 않은 신종 3종(새우류·참갯지렁이류·바다거미류 각각 1종)과 국내 미기록종 3종(새우류 2종·흡구충류 1종)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5~9월까지 서울대 김원 교수팀과 공동으로 세 차례에 걸쳐 제주 서귀포 문섬과 범섬 연안 수심 100m까지 이뤄졌다. 이곳에선 산호류 등이 넓게 분포하는 서식지가 발견됐다. 범섬과 문섬 사이 수심 30m에서 채집한 바다나리류에서는 새우류 신종 ‘크리스티메네스류’와 흡구충류 미기록종인 ‘미조스토마류’가 확인됐다. 문섬 수심 45~60m의 산호 서식지에서 새우류 미기록종(2종)이, 수심 45~60m 수중 암반에서는 참갯지렁이류 신종(콤포세티아류), 바다거미류 신종(피크노고넘류)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새우류(3종)와 흡구충류가 회초리산호류와 바다나리류에 공생하는 사실을 주목했다. 이들은 소형 무척추동물의 미소 서식지 역할을 하는데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공생하는 종 간의 관계를 밝히는 생태연구를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8-09-27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