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습성은 우울증의 또 다른 본질입니다. 이 때문에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갖지 못한 것, 갖추지 못한 것을 들춰내 스스로를 아래쪽에 자리매김하는 자기비하적인 서열화에 길들여집니다. 이런 사람들은 행복조차도 의심하기 때문에 기뻐할 여유도 갖지 못합니다. 우울증 청소년들의 고통도 상당 부분 이런 습성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모든 가능성을 다 가졌으면서도 거기에서 위로나 희망을 구하지 못합니다. 마음은 비교열위의 콤플렉스로 꽉 차 한 번의 실패조차 이겨내지 못하고 스스로를 벼랑 끝으로 내몰아갑니다. 사유와 성찰에 서툰 그들의 그런 유약함에 화가 납니다.
우울증은 의지로 극복할 수 있는 질환은 아닙니다. 그들은 맑고 순정해 그냥 마음이 시키는 대로 행동하지요. 그런 그들의 퇴행과 불행은 순전히 국가의 과실입니다. 지금까지 그래왔듯 ‘내 일’이 아니라고 여기는 탓입니다. 국가는 청소년들을 탈출구 없는 투기장에 몰아넣고 정책과 제도를 내세워 ‘합법적인 싸움’을 붙였고, 피 터지도록 싸우고 나면 점수를 매겨 우열을 갈랐습니다. 그 우열이 단순한 서열을 넘어 개인의 삶을 결정하도록 공적 권위를 부여한 것도 국가입니다. 이런 나라에서 청소년들은 마치 밥 먹고, 잠을 자듯 자신을 누군가와 비교하며 살 수밖에 없습니다. 아시지 않습니까. 비교는 우열을 낳고, 우열은 서열을 만들며, 서열 체계 속에서는 누구도 ‘승자’와 ‘패자’라는 도식적 편가르기를 피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그렇다고 국가가 모든 결과를 다 만들었다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너무 유약한 청소년들에게도 문제는 있습니다. 과보호 속에서 먹고사는 문제, 생존의 심각성을 고민하지 않고 자라는 탓에 스스로를 제왕적 존재로 알지만 그 딱딱한 외피 속의 실체는 유약하기 짝이 없어 마치 햇볕에 드러난 고드름 같습니다. 한 의대 교수는 이들을 ‘살찐 바보들’이라고 말하더군요. ‘마마보이’라는 조롱이 이상할 것 없는 세상에서 우울증 걱정 없는 반듯한 자녀들로 키워내려면 적당한 고행을 체험하게 해야 합니다. 그런 고행이 아이들을 튼실하게 지탱하는 굳건한 뿌리가 될 테니까요.
jeshim@seoul.co.kr
우울증은 의지로 극복할 수 있는 질환은 아닙니다. 그들은 맑고 순정해 그냥 마음이 시키는 대로 행동하지요. 그런 그들의 퇴행과 불행은 순전히 국가의 과실입니다. 지금까지 그래왔듯 ‘내 일’이 아니라고 여기는 탓입니다. 국가는 청소년들을 탈출구 없는 투기장에 몰아넣고 정책과 제도를 내세워 ‘합법적인 싸움’을 붙였고, 피 터지도록 싸우고 나면 점수를 매겨 우열을 갈랐습니다. 그 우열이 단순한 서열을 넘어 개인의 삶을 결정하도록 공적 권위를 부여한 것도 국가입니다. 이런 나라에서 청소년들은 마치 밥 먹고, 잠을 자듯 자신을 누군가와 비교하며 살 수밖에 없습니다. 아시지 않습니까. 비교는 우열을 낳고, 우열은 서열을 만들며, 서열 체계 속에서는 누구도 ‘승자’와 ‘패자’라는 도식적 편가르기를 피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그렇다고 국가가 모든 결과를 다 만들었다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너무 유약한 청소년들에게도 문제는 있습니다. 과보호 속에서 먹고사는 문제, 생존의 심각성을 고민하지 않고 자라는 탓에 스스로를 제왕적 존재로 알지만 그 딱딱한 외피 속의 실체는 유약하기 짝이 없어 마치 햇볕에 드러난 고드름 같습니다. 한 의대 교수는 이들을 ‘살찐 바보들’이라고 말하더군요. ‘마마보이’라는 조롱이 이상할 것 없는 세상에서 우울증 걱정 없는 반듯한 자녀들로 키워내려면 적당한 고행을 체험하게 해야 합니다. 그런 고행이 아이들을 튼실하게 지탱하는 굳건한 뿌리가 될 테니까요.
jeshim@seoul.co.kr
2012-11-2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