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레시피] 밭에서 나는 ‘소고기’ 두부, 생선과 찰떡궁합… 시금치 NO

[건강레시피] 밭에서 나는 ‘소고기’ 두부, 생선과 찰떡궁합… 시금치 NO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10-25 23:02
업데이트 2015-10-25 2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부는 예부터 ‘밭에서 나는 소고기’라고 불릴 만큼 고단백인 콩으로 만들어 단백질을 비롯한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육류 등 동물성 단백질 식품과는 달리 열량과 포화지방 함유량이 적고 콜레스테롤은 없죠. 하지만 두부의 영양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하루 세 끼 두부만 먹는 다이어트를 하면 영양 불균형이 심각해질 수 있어 삼가야 합니다.

두부를 먹을 때 당근 등 채소를 곁들이면 두부에 부족한 비타민A와 비타민C를 보충할 수 있습니다. 두부와 생선을 함께 먹으면 식물성 단백질에 부족한 아미노산 성분인 메티오닌과 라이신을 보충할 수 있고, 생선에 함유된 비타민D가 두부의 칼슘 흡수를 도와줍니다. 하지만 시금치는 두부와 함께 먹지 않는 게 좋습니다. 시금치에는 옥살산이 다량 함유돼 있는데, 이 성분이 몸에서 두부의 칼슘 성분과 결합하면 불용성 수산 칼슘이 만들어져 담석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죠.

영양도 좋고 맛도 뛰어난 두부는 콩의 가용성 단백질을 가열 추출해 응고시킨 다음 압착 성형해 만듭니다. 보통 두부김치나 부침, 조림용으로 사용하는 두부를 이런 방식으로 만들죠. 순두부는 응고된 두유액을 눌러 짜지 않고 멍울진 상태로 건져내 그대로 먹는 두부입니다. 일정한 형태가 없고 질감이 부드럽죠. 주로 따뜻할 때 간장 양념을 넣어 먹거나 찌개용으로 사용합니다.

연두부는 진한 두유액을 구멍이 없는 틀에 넣어 물기를 짜지 않고 그대로 응고시킨 것입니다. 일반적인 두부에 비해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럽죠. 전두부는 비지를 거르지 않은 두유액을 그대로 응고시킨 것으로 콩의 영양소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이 밖에 두유액을 단시간 가열해 응고시키고서 기름에 튀긴 유부(튀김두부), 두부를 동결 건조해 저장성을 향상시킨 얼림 두부 등 두부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포장된 두부를 구입할 때는 반드시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았는지, 표시된 보관온도대로 보관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포장되지 않은 두부는 만든 지 24시간 이내의 것을 사는 게 좋습니다. 비포장 두부의 권장 유통기간은 4~10월에는 24시간, 11~3월에는 48시간입니다.

두부는 먹을 만큼만 사 바로 섭취하되, 남았다면 두부가 완전히 잠기도록 찬물을 부어 냉장고에 보관하고 되도록 빨리 드세요. 두부를 얼리면 얼음 결정이 생기고 탄력이 없어지므로, 냉동해야 한다면 두부를 으깨어 물기를 최대한 빼거나 양념을 합니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10-26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