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중년 남성들이여! 마음이 아프면 아프다고 말하세요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중년 남성들이여! 마음이 아프면 아프다고 말하세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11-22 23:02
업데이트 2015-11-22 2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좀 피곤한 것뿐이야…” 숨기고 억누르면 두통·불안·불면 등 다른 증상으로 표출

우울증 환자 가운데는 실제로 우울하지 않은 환자도 있다. 특히 중년 남성이 그렇다. 중년쯤 되면 우울해도 우울하다고 말조차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우울한 감정을 속으로만 꾹 눌러 담는다. 마음의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사람도 꽤 많다. ‘나이 40세, 50세가 되어 세상의 온갖 어려움을 겪어 봤는데 내 마음 하나 못 다스리겠느냐’며 마음의 문제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우울한 감정을 숨기고 억누르다 보니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피곤하다, 잠이 오지 않는다, 예민하다, 불안하다, 머리가 아프다, 가슴이 답답하다’며 우울감이 아닌 다른 신체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다. 의사가 우울증 진단을 내려도 “나는 우울하기보다 피곤해요. 그냥 좀 지쳐 있을 뿐이에요”라며 우울증을 인정하지 않는다.

우울증이 표출되는 양상은 이 밖에도 매우 다양하다. 일에 지나치게 빠져들고 멍하니 텔레비전만 보거나 조급해하고 쓸데없는 걱정을 자꾸 머릿속에 떠올린다. 벗어나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들고 고집스러워지며 남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

이런 식의 우울 증상이 2주 이상 오래가고 식욕과 수면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고 사회적·직업적 소임을 하는 데 지장이 있거나 환각, 망상이 나타나면 병적인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병적 우울증은 약물과 상담으로 치료한다. 항우울제를 투여하고서 2~3주가 지나면 효과가 나타나 대개 4~6주면 호전된다. 이 경우 증상이 호전돼도 6개월 정도는 약물치료를 계속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중년 남성의 우울증을 치료하려면 환자 스스로 우울한 감정을 숨기려 하거나 부정해서는 안 된다. 또한 두려워해서도 안 된다. 우울한 감정을 술로 해결하려 들거나 혼자만의 동굴 속으로 빠져 들어가서도 안 된다. 우울해졌다는 현실을 받아들이고 그렇게 된 이유와 상황을 이해하면 우울한 기분이 사라진다.

그런 기분이 사라지지 않더라도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면 두려워하지 않고 당당하게 맞설 수 있다. 그래야 스스로 기분을 통제할 힘이 생긴다. 또한 마음이 아프다고 말하고 당당히 위로받아야 한다. 이렇게 해야 비로소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다.

■도움말 김병수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2015-11-23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