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레시피] 닮은꼴 수산물 이렇게 구별하세요

[건강레시피] 닮은꼴 수산물 이렇게 구별하세요

입력 2015-11-29 17:42
업데이트 2015-11-30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일 찬거리를 준비하는 주부가 아니라면 막상 시장에 가서 생선을 고르기가 말처럼 쉽지 않다. 갈치나 고등어처럼 익숙한 생선은 고르기가 쉽지만 색다른 생선을 먹고자 할 때 서로 비슷하게 생겨 어떤 생선을 골라야 할지 헷갈릴 때가 잦다. 자연산과 양식을 구분하기도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비슷한 어종이나 자연산·양식, 국내산·수입산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초보자가 가장 구분하기 어려운 생선은 광어와 가자미다. 납작한 몸뚱이에 한쪽으로 몰린 눈, 심지어 색깔까지 유사해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판별이 어렵다. 이 두 어종을 구별하려면 아가미와 내장 방향을 살피면 된다. 아가미와 내장의 방향이 오른쪽이면 광어, 왼쪽이면 가자미다. ‘우(右)광어, 좌(左)가자미’라고 기억하면 쉽다. 반대로 ‘좌(左)광어, 우(友)가자미’라고 하여 눈의 방향으로 구별하는 방법도 있는데, 전문가가 아니면 판별하기가 쉽지 않다.

홍어와 가오리도 외양이 삼각형이어서 구별이 쉽지 않다. 이럴 땐 코끝을 살핀다. 홍어는 코끝이 삼각형이고 가오리는 둥그스름하다. 명절 제사상에 빠지지 않는 조기도 민어과의 ‘부세’라는 생선과 헷갈리기 쉽다. 부세도 조기처럼 굴비로 만들어 먹는 데다 모양이 비슷하다. 구별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조기는 옆줄이 두꺼운 점선이고 부세는 실선이다. 또 주둥이 부분이 붉은 것은 조기이고, 그렇지 않은 생선은 부세다.

제주도에서는 ‘자바리’라는 생선을 다금바리라고 부른다. 실제 다금바리는 주둥이가 길지만 자바리는 짧다. 일부 횟집에서 다금바리를 주문하면 자바리와 외양이 비슷한 ‘능성어’를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능성어는 자바리와 달리 몸에 7개의 흰 줄이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값비싼 수산물인 전복은 패각 표면의 나이테를 보고 자연산과 양식을 구분한다. 양식 전복은 패각 표면이 녹색이고 나이테가 있지만, 자연산 전복은 패각 표면에 부착물이 많고 암갈색을 띤다. 광어는 배 부위를 보고 자연산과 양식을 구분한다. 배 부위에 얼룩무늬가 있으면 양식, 얼룩무늬 없이 배 전체가 흰색이면 자연산이다.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한다는 가을 생선 전어는 입술 색깔로 자연산과 양식을 구분한다. 자연산 전어는 입술이 흰색이나 양식은 붉은색이다. 고등어는 국내산과 수입산의 생김새가 확연히 다르다. 수입산은 등지느러미 쪽에 검은 세로줄 무늬가 선명하다. 반면 국내산은 줄무늬가 없고 배 부위가 연한 청색이며 모양이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하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11-30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