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으로 잡는 건강] 머리로 올라온 열, 발 아래로 내리면 의사가 필요 없죠

[한방으로 잡는 건강] 머리로 올라온 열, 발 아래로 내리면 의사가 필요 없죠

입력 2015-11-29 17:42
업데이트 2015-11-30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따뜻한 공기는 밀도가 낮아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밀도가 높아 하강한다. 같은 원리로 지표면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해 어느 정도 차가워지면 다시 하강하며 공기가 순환한다. 만약 따뜻한 공기는 위에만, 차가운 공기는 아래에만 있다면 어떻게 될까. 공기가 순환하지 않아 대기가 정체될 것이다.

우리 몸도 기혈이 원활하게 순환하지 않으면 열이 위로만 뜨고 냉기는 가라앉는다. 이런 상태를 한의학에서는 상열하한(上熱下寒)이라고 하여 병적인 상태로 본다. 이런 증세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은 대개 “입술이 마르고 입맛이 써요”, “얼굴이 화끈거리며 피부 트러블이 생겨요”, “얼굴에 열이 올라요”, “두피가 붉어졌어요”, “뒷목이 뻣뻣하고 혈압이 올라요”라고 호소한다. 반대로 “배가 차요”, “자궁이 냉한 것 같아요”, “발끝이 얼음장같이 차요”라며 냉감에 의한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런 환자는 먼저 몸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 줘야 한다. 침구와 한약을 써서 차가운 물의 기운을 상체로 올리고, 뜨거운 열의 기운을 하체로 내려 건강을 유지하는 수승화강(水昇火降), 머리는 차갑고 발은 따뜻하게 하는 두한족열(頭寒足熱) 상태로 만든다.

네덜란드의 유명한 화학자이자 의사인 헤르만 보어하브는 죽기 전 저서에 최고의 건강비결로 ‘머리는 차갑게 하고 다리와 배는 따뜻하게 하라. 그러면 의사가 할 일이 없어지게 될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한의학에서 강조하는 수승화강, 두한족열과 같은 맥락이다.

척추관절질환도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아픈 부위의 통증과 염증을 억제하면서 기혈이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해야 한다. 만성 경항통(목 통증)이나 턱관절 장애는 대개 잘못된 자세, 치열의 구조적 문제로 목이나 턱관절 부위 근육이 긴장해 발생한다. 여기에 스트레스로 기가 울체돼 열이 머리 쪽으로 상승하면 목이나 턱관절 주위의 근육이 긴장해 증상이 악화한다. 장기간 스트레스를 받으면 부신피질에서 코르티솔이 분비돼 교감신경을 자극하고 혈압이 상승해 근육이 긴장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럴 땐 침이나 부황으로 근육의 긴장을 풀어 주면서 황금, 목단피, 치자, 시호 등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상승한 화열을 내리는 약재가 포함된 한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퇴행성 슬(무릎)관절염 환자가 하체 순환이 잘 안 돼 무릎 주위가 차고 시리거나 근육과 인대가 약해졌다면 봉독약침이나 전기침으로 염증과 통증을 억제하면서 우슬, 육계, 오가피, 위령선 등의 한약재로 하체를 따뜻하게 하고 부종을 없애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도움말 이승훈 경희대 한방병원 척추관절센터 전임의
2015-11-30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