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 치료 1100명 넘어…수도권 병상 부족 우려

격리 치료 1100명 넘어…수도권 병상 부족 우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8-16 22:28
업데이트 2020-08-17 0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경기 코로나 확산 비상

서울·경기가 785명으로 71% 차지
수도권서 가용 가능한 병상 797개
중환자용 병상은 97개만 남아 비상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코로나19 연합뉴스
서울과 경기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해 격리돼 치료받는 환자가 1000명을 넘어서면서 치료병상 부족 우려가 나오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6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고 의료기관이나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 치료 중인 환자는 1103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403명)과 경기(382명) 두 곳의 격리치료 환자가 785명으로 71.2%를 차지한다. 반면 수도권에서 이용 가능한 감염병전담병상은 이날 오후 2시 기준 1479개다. 이 가운데 682개(46.1%)는 이미 사용 중이다. 가용 가능한 병상은 797개(53.9%)뿐이다. 코로나19 환자뿐 아니라 일반 환자도 이용해야 하는 중환자용 치료 병상은 수도권에 339개이지만 이 가운데 사용 가능한 것은 97개(28.6%)뿐이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 수도권의 감염병전담병원의 병상 가동률에는 다소 여유가 있지만 급증하는 환자 추세를 고려해 대응체계를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병상과 생활치료센터를 합치면 1200~1300명 정도는 오늘 즉시 입원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병상이 부족하면 지난 2월 말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대구·경북 사례처럼 제대로 된 치료조차 받지 못하고 집에서 사망하는 환자가 나올 수도 있다. 경증·무증상 환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도 409실 정도로 넉넉한 상황은 아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부터 서울의료원, 서북병원, 서남병원, 보라매병원, 인천의료원, 경기의료원 수원병원, 경기의료원 안성병원, 성남시의료원 등 8곳을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했다.

일부에서는 코로나19 환자가 몰려 중환자가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을 우려한다. 정기석 전 질병관리본부장은 “미국의 경우도 코로나19 환자를 보느랴 급한 응급환자를 보지 못해 사망률이 올라갔다”며 “코로나19 환자 이외 중환자 병상 수급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8-17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