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중심으로 비상진료체계 운영… 서울 64개 응급의료센터 24시간 가동

보건소 중심으로 비상진료체계 운영… 서울 64개 응급의료센터 24시간 가동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8-27 01:46
업데이트 2020-08-27 0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료공백 어떻게 메우나

야간·휴일 의료기관 40곳 ‘비상 진료’
서울 시립병원 7곳 외래 7시까지 연장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전공의·전임의·개원의 등 의사 전 직역이 26~28일 총파업(집단휴진)에 돌입하자 정부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했다. 의사 파업으로 진료가 지연되고 수술이 차질을 빚고 있는 데다 동네의원마저 휴진해 진료 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응급실과 중환자실에 인력 공백이 없도록 하고, 병원 진료 시간을 연장하는 등 진료 공백을 최소화해 환자들에게 억울한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위급한 환자가 몰리는 수술실과 중환자실의 필수 인력을 확보하고자 각 병원에 24시간 응급의료체계 유지, 대체순번 지정 또는 대체인력 확보, 당직의 조정 등을 주문했다.

또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도 평일 진료시간 연장과 주말·공휴일 진료 협조를 요청하는 등 비상 진료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격리치료를 받는 코로나19 환자가 이날 0시 기준 1516명에 달한 서울시는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 등 64곳을 24시간 가동한다. 야간·휴일 진료기관 40곳도 비상 진료에 들어갔다. 서울의료원·보라매병원·서북병원·은평병원·동부병원·북부병원·서남병원 등 시립병원 7곳은 내과·외과·소아과 등 필수 진료과목을 중심으로 외래 진료를 오후 7시까지 연장했다.

또 개원의 파업으로 발생한 골목길 의료 공백에 대비해 보건소 중심의 비상진료체계를 운영하고, 복지부·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웹사이트, 응급의료포털, 스마트폰 앱 ‘응급의료정보제공’을 통해 진료 가능한 의료기관을 안내하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3만 2787개 의원급 의료기관 중에서 이날 정오 기준 3549곳이 휴진해 10.8%의 휴진율을 보였다. 사전에 휴진 신고를 한 의원급 의료기관은 2097곳(6.4%)이었는데 실제로는 1452곳이 추가로 휴진한 것이다. 27일에는 1905개(5.8%), 28일 1508개(4.6%) 기관이 사전 휴진 신고를 했다. 이런 추세라면 실제 신고 수보다 많은 의료기관이 휴진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대형 병원들은 진료 공백에 대비해 외래 진료를 줄이고 수술을 연기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서울대병원은 하루 평균 120건 하던 수술을 절반으로 줄였고, 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 등도 진료 규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는 “외래 진료는 사전에 축소해 우선 큰 혼란 없이 진료하고 있다”고 밝혔다.

응급실은 환자 쏠림 현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우려된다. 의협 측은 응급실·중환자실에는 필수 인력을 남기겠다고 밝혔으나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응급실 복귀는 없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박 장관은 “의료계 집단휴진 장기화에 대비해 수술실, 중환자실 등에 의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비상진료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8-2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