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모 10명 중 6명 근로소득 없어 ‘생활고’

미혼모 10명 중 6명 근로소득 없어 ‘생활고’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08-21 22:54
업데이트 2018-08-22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 92만원 소득 중 양육비가 65만원

아이 아빠에게 지원받는 경우 11%뿐
28% 직장서 권고사직 강요받은 경험

미혼모 10명 중 6명은 근로소득이 없어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장에서 권고사직을 받거나 학교에선 자퇴를 강요받는 등 사회적으로 큰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21일 인구보건복지협회가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10~40대 미혼모 359명을 대상으로 ‘양육미혼모 실태 및 욕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근로소득과 복지급여, 기타소득을 합한 미혼모 월평균 소득액은 92만 3000원이었다. 이 가운데 자녀양육비로 평균 65만 8000원을 지출했다. 미혼모 월평균 소득액 중 근로소득은 45만 6000원, 복지급여액 37만 8000원, 기타소득은 8만 9000원이었다. 응답자 61.6%는 ‘근로소득이 없다’고 답했다. 소득이 전혀 없는 미혼모도 전체의 10.0%였다. 취업자는 33.7%, 비취업자 51.0%, 학생은 12.0%로 조사됐다.

미혼모들은 아이의 아버지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아이 아버지 대부분이 출산 사실이나 양육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는 미혼모는 11.7%에 그쳤다. 미혼모 27.9%는 양육으로 인해 직장에서 권고사직을 강요받은 경험이 있었다. 학교에서 자퇴를 강요받은 경험이 있는 미혼모도 11.6%였다. 미혼모 중 59.1%는 임신으로 인해 직장을 그만둔 경험이 있었고, 양육 때문에 직장을 그만둔 여성도 전체의 47.4%였다. 이런 이유로 미혼모들은 양육의 가장 어려운 점으로 재정적 어려움(34.3%)을 꼽았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8-22 1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