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정부, 마스크 앱서 재고 공개

이제야… 정부, 마스크 앱서 재고 공개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0-03-10 22:22
업데이트 2020-03-11 06: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주 논의 시작해 테스트 시간 걸려

한 달 만에 서비스… “뒷북행정” 도마
우체국도 오늘부터 1주 1인 2개 판매
이미지 확대
마스크 5부제 시행 이틀째인 10일 오후 서울 주택가의 한 약국 앞에서 우산을 쓴 주민이 공적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2020.3.10 연합뉴스
마스크 5부제 시행 이틀째인 10일 오후 서울 주택가의 한 약국 앞에서 우산을 쓴 주민이 공적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2020.3.10 연합뉴스
약국 마스크 정보 제공을 둘러싼 정부의 ‘뒷북행정’이 또 도마에 올랐다. 마스크 대란이 한 달간 이어지고 민간에서 약국 마스크 정보를 담은 애플리케이션(앱)이 출시된 지 한참 됐는데, 정부가 이제야 포털과 민간 앱 개발자에게 약국에서 판매되는 마스크 데이터를 공개했다. 국민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마스크 판매처와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이지만 국민 불편이 발생한 뒤 대책이 뒤따른다는 비판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일 오후 7시부터 민간이 필요로 하는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전국 2만 3000여개 약국에서 마스크 판매 관련 데이터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기관업무포털에 입력하면 심평원은 이를 정보화진흥원에 제공한다. 정보화진흥원은 데이터를 재가공하고, 이를 네이버 클라우드 등을 통해 포털이나 스타트업, 앱 개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약국은 이날부터, 우체국은 11일부터 마스크 판매 정보를 제공한다. 정부는 농협하나로마트 제공일에 대해선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2차관은 “판매처에서의 실제 현황과 입력된 정보 간의 시차 문제를 줄여 5~10분 내에 정보가 올라오도록 수차례 샘플 테스트 과정을 거쳤다”면서 “마스크 재고는 `100개 이상, 30~99개, 30개 미만, 재고 없음’ 등 4단계로 구분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달부터 마스크 대란이 지속되자 약국을 포함한 공적 판매처를 통한 마스크 공급을 시작했다. 그럼에도 물량 부족과 줄 서기 등으로 국민 불편은 계속 커졌다. 이를 보다 못한 대학가 등에서 배달앱을 활용해 마스크 재고를 알려 주는 ‘마스크 알리미’ 서비스를 내놓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정부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에 대해 “지난주부터 데이터 공개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고 약사회와의 협의, 샘플 테스트 등에 시간이 걸렸다”고 해명했다.

한편 우정사업본부도 중복구매 확인시스템 구축으로 11일부터 읍면지역 1317개 우체국에서 약국처럼 한 주에 1인당 2개의 마스크를 판매한다고 밝혔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0-03-11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