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냄새 찾아내는 모기 후각 수용체 억제하면 혈관 못 찾아

피 냄새 찾아내는 모기 후각 수용체 억제하면 혈관 못 찾아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5-09-24 00:02
업데이트 2015-09-24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용준·권형욱 교수 연구팀 규명

무더운 여름 밤 ‘앵앵’거리며 날아다니는 모기는 신경을 곤두서게 만든다. 모기의 흡혈은 피부를 붓게 하고 가렵게 할 뿐 아니라 뇌염, 뎅기열, 말라리아 등을 옮기기도 한다.

안용준(왼쪽)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와 권형욱(오른쪽) 연구교수 공동연구팀은 모기가 사람이나 동물의 피 냄새를 감지해 흡혈하는 후각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밝혀내고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 최근호에 발표했다.

모기는 동물이 내뿜는 이산화탄소와 옥테놀이라는 휘발성 물질에 의해 먼 거리부터 유인되기 시작해 가까운 거리에서는 사람이나 동물이 가진 독특한 체취를 따라간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연구진은 모기의 주둥이 앞쪽에 후각 감각구조를 가진 감각모가 있고 감각모 안에 2종류의 후각 수용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이 후각 수용체는 혈액에서 나오는 냄새 성분인 송이버섯올과 사이클로헥산올 같은 휘발성 향기 성분에 강하게 반응한다는 것도 알게 됐다.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땀 냄새나 발 냄새 등에는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도 밝혀냈다.

또 연구팀은 모기의 후각 수용체 중 하나만 차단하더라도 피를 빠는 데 걸리는 시간이 30초에서 3~15분까지 늘어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안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2종류의 후각 수용체가 억제되면 모기가 동물의 피부에 침을 꽂아 혈관을 제대로 찾지 못한다는 것도 밝혀냈다”며 “모기의 후각 수용체를 차단해 흡혈을 막을 수 있는 물질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5-09-24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