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R&D 투자, GDP 비중 최상위…국제협력·과학논문 영향력은 저조”

“한국 R&D 투자, GDP 비중 최상위…국제협력·과학논문 영향력은 저조”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5-10-19 22:48
업데이트 2015-10-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과학정상회의 대전서 개막

우리나라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중에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중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그러나 국제 협력과 과학 논문 영향력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19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에서 각국의 참석자들이 개회사를 듣고 있다.  대전 연합뉴스
19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에서 각국의 참석자들이 개회사를 듣고 있다.

대전 연합뉴스


19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세계과학정상회의에서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이런 내용이 포함된 ‘OECD 과학기술산업 스코어보드 2015’를 발표했다. OECD 과학기술산업 스코어보드는 2년에 한 번씩 주요 국가 과학 기술 관련 주요 지표를 비교, 분석해 발표하는 자료다.

이 자료에서 한국은 연구·개발 투자의 GDP 비중이 1995년 2.2%에서 2013년 4.15%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OECD 평균인 2.4%를 크게 웃돌았다. 한국은 미래 혁신을 이끌 20개 과학 기술 중 사물인터넷(IoT)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전송 휴먼 인터페이스 ▲배터리 제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 11개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 논문의 영향력과 국제 과학 협력은 글로벌 평균 이하라는 평가와 함께 서비스 부문의 부가가치 비중이 2011년 기준 29.7%에 불과해 OECD 평균(36.9%)을 밑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55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도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나 디지털 격차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구리아 사무총장은 “한국에서는 기업이 연구·개발을 선도하는 경향이 강해 기초연구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가 향후 핵심 도전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OECD 주최로 열린 세계과학정상회의에는 최양희 미래부 장관 등 57개국 과학 기술 분야 장·차관급 인사와 12개 국제기구 수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52년 만에 처음으로 아시아에서 열렸다.

대전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5-10-20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