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김상현 새 타격폼 ‘합격점’

[프로야구] 김상현 새 타격폼 ‘합격점’

입력 2010-08-11 00:00
업데이트 2010-08-11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반기 맹타… 스탠스에서 피니시까지 집중 분석

지난 7일 프로야구 군산 KIA-두산전이었다. 8회 말 2-2 만루 상황. 김상현이 등장했다. 김상현이 변화구에 약하다는 건 온 천하가 다 안다. 더구나 올 시즌엔 무릎과 발목이 완전치 않다. 두산 투수 히메네스는 슬라이더로 승부했다. 스트라이크존 가운데서 바깥 쪽으로 공이 휘었다. 김상현은 반박자 빨리 움직였다. 스트라이드하는 다리가 미리 움찔했다. 홈플레이트 쪽으로 다리를 살짝 옮겨 놓고 받아쳤다. 타구는 오른쪽 담장을 훌쩍 넘겼다. 만루홈런. 김상현은 경기 직후 “변화구를 예상하고 타석에 섰다.”고 했다. 많은 걸 말해주는 장면이었다. 전반기 안 좋았을 때와 타격 메커니즘에 변화가 있다. 타석에 들어서기 전부터 마지막 스윙까지, 무엇이 달라졌을까.

이미지 확대
●숫자로 본 변화-11경기 11타점

후반기 들어 김상현은 다른 선수가 됐다. 올 시즌 전체 기록을 보자. 타율 .218에 12홈런 35타점을 기록하고 있다. 평범하다 못해 초라하다. 그러나 지난 7월27일 복귀 뒤 페이스가 좋다. 11경기에서 홈런 4개, 11타점을 기록했다. 경기당 홈런이 0.36개다. 홈런만 보면 지난해 한참 좋을 때보다 낫다.

여전히 왼손투수에는 약하다. 이 기간 홈런 4개는 모두 오른손 투수에게 뽑아냈다. 타점 11개도 모두 오른손 투수 상대 기록이다. 오른손 투수 상대 타율은 .285다. 왼손에는 .200을 기록했다. 아직 몸쪽 공 공략이 완전치 않다는 얘기다.

●변화구 대응-중심은 뒤쪽에

대신 후반기 들어 변화구 공략이 좋아졌다. 떨어지는 변화구를 좋은 타구로 연결하는 모습이 여러 차례 포착됐다. 두산전 만루홈런도 변화구를 공략한 결과다.

그러나 여전히 변화구에 자신이 없다. 무릎과 발목이 안 좋아 스트라이드 폭이 들쭉날쭉하다. 타격 포인트가 일정하지 못하니 공의 변화에 대처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노림수를 좀 더 늘렸다. 변화구 타이밍을 예측해 준비한 박자대로 방망이를 돌린다. 만루홈런 뒤 “변화구를 예상했다.”는 말도 같은 맥락이다. KIA 이건열 타격코치는 “그러다 보니 예상치 못한 공이 들어오면 어이없는 스윙도 자주 나오고 있다.”고 했다.

하체가 불안정하지만 왼쪽 어깨는 벌어지지 않고 있다. 최대한 두팔을 몸쪽에 붙인 상태에서 스윙한다. 히팅 포인트를 몸쪽으로 당기면서 중심도 뒤에 남겨두고 있다. 공의 변화를 조금이라도 더 지켜보기 위해서다. 긍정요소다.

●하체-폭 좁히고 고정

타격을 위해 움직이는 순간 무릎에 통증이 느껴진다. 왼쪽 무릎을 신경 쓰다 보니 오른쪽 무릎에도 무리가 오고 있다. 김상현은 “꼬집어 말할 순 없지만 기분 나쁜 통증이 온다.”고 표현했다.

지난 시즌엔 스트라이드 폭을 좁히고 하체를 고정시킨 뒤 타격했다. 안정적인 자세였다. 올 시즌엔 이게 안 된다. 그래서 준비동작시 반박자 빠르게 다리를 움직인다. 스트라이드하는 다리를 미리 움직여 놓고 공에 맞춰 대응한다. 그때그때 스트라이드 폭과 다리 위치가 달라진다. 부자연스럽지만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고육책이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8-11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