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래식 ‘변형 스리백’ 성공할까

조광래식 ‘변형 스리백’ 성공할까

입력 2010-08-11 00:00
업데이트 2010-08-11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앙수비 전진 중원강화… 역습엔 약점

포백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세계 축구의 흐름 속에서 한국축구의 새 사령탑 조광래(56) 감독이 취임 직후 별안간 ‘스리백 카드’를 꺼내든 건 생뚱맞은 일은 아니다.

이미지 확대
사실 조 감독은 스리백 신봉자다. 3년 동안 몸담았던 클럽팀 FC경남에서도 그는 이 스리백을 ‘조광래식 토털사커’의 근간으로 삼아 팀을 일취월장시켰다. 빠른 패스를 시도하는 양쪽 날개의 공수에 걸친 적극적인 가담 여부, 그리고 오버래핑을 자제하는 수비라인의 붙박이 수비가 스리백의 핵심이다.

조 감독은 11일 나이지리아와의 리턴매치에서 스리백 수비라인을 바탕으로 한 3-4-2-1 포메이션을 가동하겠다고 미리 밝힌 바 있다. 그가 스리백 카드를 꺼내든 것은 수비 조직력을 강화해 한국축구의 고질적 병폐인 수비 불안을 해결해 보기 위함이다. 스리백은 세 명의 ‘붙박이 수비수’를 두기 때문에 측면 수비의 공격 가담이 잦은 포백보다 훨씬 수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4강 신화를 쓴 거스 히딩크 감독도 포백을 고집하다 결국 스리백으로 전환해 수비 안정을 찾고 좋은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스리백은 운용상 웬만큼 부지런한 양쪽날개의 움직임 없이는 미드필더 싸움에서 숫자에 밀린다는 약점이 있다. 세계축구의 흐름과 동떨어져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그러나 조 감독은 “수비 안정은 물론 미드필드 장악에도 스리백 시스템이 보탬이 될 것”이라면서 이른바 ‘변형 스리백’으로 이를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공격 때에는 중앙수비수 한 명을 전진시켜 수비형 미드필더 역할까지 맡게 해 중원을 강화하면서 공격자원을 늘리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스리백에도 약점은 있다. 조 감독의 말대로 3명 가운데 1명이 미드필드에 가담할 경우 상대의 킬패스 한 방에 뒷공간을 활짝 열어주는 실수를 범할 수도 있다. 역습에 상당히 취약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래서 조 감독은 대표팀 고참 이영표(33·알 힐랄)와 최효진(23·FC서울)을 미드필더로 끌어올렸다. 둘은 당초 부지런하기로 유명한 수비자원들이었다. 평소 수비수를 3명으로 삼되 필요한 경우(수세에 몰릴 때)엔 5명으로 수비라인을 구축하겠다는 의도다.

당장 조 감독의 정확한 심중을 파헤치기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한국축구가 접해 보지 못한 새로운 시도가 나이지리아전에서 펼쳐질 것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0-08-11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