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보號 요르단 넘고 최종예선 진출… 남은 2개월은
전·후반 90분 모두 완벽한 팀은 없다. 경기가 마음먹은 대로 풀리지 않을 때도, 실점할 때도 있다.홍명보 감독
스포츠서울
스포츠서울
24일 요르단 암만에서 끝난 한국 올림픽대표팀의 요르단과의 아시아지역 2차 예선 2차전은 ‘홍명보호’가 더 강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경기였다. 1-1로 비긴 한국은 1, 2차전 합계 4-2로 최종예선에 안착했다.
●골로 이어진 22번의 패스
아쉬운 스코어였다. 그러나 1차전보다 안정적이었다. 단 한 번의 실전테스트를 거쳤을 뿐인데 다른 팀이 됐다. 중원을 지배했다. 한국은 짧은 패스를 통해 상대를 끌어낸 뒤 빈공간을 만들고, 침투했다. 상대에 막히면 최종수비부터 다시 이 작업을 반복했다. 반대쪽이 열렸을 때는 이를 놓치지 않고 롱패스로 공격의 활로를 뚫었다. 요르단은 역습이 아니고는 한국 진영으로 넘어올 생각을 하지 못했다. 한국은 노련한 경기운영으로 6할 이상의 점유율을 계속 유지했다.
특히 후반 26분 홍철(성남)의 만회골은 골 자체도 환상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골을 만들어 낸 과정도 예술이었다. 수비 상황에서 공을 탈취한 뒤 홍철에게서 시작된 공격 전개는 무려 22번의 패스를 하는 동안 한 번도 끊기지 않고 다시 홍철의 발끝으로 연결, 골망을 흔들었다. ‘패싱게임’을 표방하는 A대표팀도 10번 이상 끊기지 않고 패스를 이어가는 경우는 흔치 않다. 홍명보호가 분명히 진보하고 있음을 보여준 장면이었다.
●미드필더 빠른 공수전환 시급
그렇다고 마냥 잘한 건 아니다. 이번에도 먼저 골을 내줬다. 3경기째다. 3골 모두 주지 않아도 될 골이었다. 상대는 모두 역습상황에서 골을 넣었다. 공을 뺏긴 뒤 상대의 긴 드리블을 방치했다. 공격에 가담한 미드필더들과 두 윙백들의 수비전환이 늦었다. 사실 이건 늘 있는 일이다. 문제는 백업이 제대로 안 됐다는 점이다.
주도권을 장악한 뒤 공세를 이어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모두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몰리고, 상대의 역습이 쉬워진다. 그래서 윙백이 치고 나가면, 미드필더는 빈자리를 메워야 한다. 선수들도 이를 알고 있었다. 윤빛가람(경남)은 경기 뒤 “수비가 많이 흔들렸던 건 사실이지만, 수비수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드필더들이 도와줘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공격에서도 미드필드에서의 패스 플레이가 상대 위험지역까지 유지되지 않았다. 물론 저항이 더 강해지지만, 이를 뚫어야 골이 터진다. 그런데 이걸 잘하는 지동원이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선덜랜드로 떠난다. 이후 올림픽팀 합류가 불투명하다.
홍 감독은 이보다 더 많은 것을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선수들이 경기에 임하는 자세에 문제가 있다. 팀을 위해 충실히 뛰는 선수가 있는가 하면 미흡한 선수도 있다.”면서 “최종 예선까지 남은 2개월 동안 전면 대수술이 필요하다. 대수술을 하지 않으면 요르단보다 강한 팀들과 상대해야 할 최종 예선에서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6-2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