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욕 남다른 임신 선수들

승부욕 남다른 임신 선수들

입력 2010-11-14 00:00
업데이트 2010-11-14 1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신을 하면 모성애가 생기는 건 물론 승부욕도 더 강해지는 걸까?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김윤미(28.서산시청)가 14일 임신 7개월의 몸으로 사격에 출전,여자 공기권총 10m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2관왕에 올라 ‘임부 메달리스트’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이날 TV 화면에서 관심을 끈 건 타깃을 뚫어질 듯 날카롭게 쳐다본 김윤미의 눈이 아닌 불룩한 배였다.

 김윤미는 앞서 역대 태극마크를 단 사격 선수로는 처음으로 뱃속의 아기와 함께 국제대회에 참가한 첫 사례를 남겼고 내친김에 금메달까지 따내면서 광저우에서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었다.

 지난 2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렸던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도 배가 남산만한 ‘예비 엄마’가 메달을 따 화제를 모았다.

 주인공은 캐나다 컬링 대표팀에서 뛰었던 크리스티 무어(31)다.무어는 임신한 몸으로 올림픽에 출전한 역대 세 번째 선수로 기록됐다.

 당시 임신 5개월 반이었던 무어는 대표팀 예비선수로 부상 선수가 나왔을 때 투입되는 제5의 멤버였고 캐나다가 은메달을 따내면서 함께 영광을 맛봤다.

 사격과 컬링은 몸을 격렬하게 움직이지 않아도 되는 대신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한 종목이라 임부가 뛰는 데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몸을 심하게 쓰는 종목에도 임부가 출전했던 예는 얼마든지 있었다.

 스웨덴의 피겨 선수 마그다 울린은 1920년 앤트워프 하계 올림픽 때 임신 3개월의 몸으로 금메달을 따내 역대 첫 임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남았다.

 피겨스케이트는 엄연한 동계종목이나 1920년에는 아이스하키와 함께 하계올림픽으로 치러졌다.

 독일의 디아네 자토르(40)도 임신 9주째를 맞았을 때 2006 토리노올림픽 스켈레톤 종목에 나가 0.28초 차로 아깝게 메달을 놓쳤다.

 광저우=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