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24) ‘45.93g의 과학’ 골프공

[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24) ‘45.93g의 과학’ 골프공

최병규 기자
입력 2015-11-24 22:32
업데이트 2015-11-24 22: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스 수에 따라서 비거리 달라져 … 골퍼 수준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골프공은 18홀 라운드 내내 모든 샷에 사용되는 단 하나의 장비다.

미국골프협회(USGA)와 영국의 왕실골프협회(R&A)의 규정에 따르면 골프공은 무게 1.62온스(45.93g)를 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반면 직경은 1.68인치(42.67㎜)보다 같거나 커야 한다. 초기 재질은 나무였으나 이후 가죽과 깃털,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소재로 발전을 거듭했다. ‘딤플’이 적용된 근대 골프공이 생겨난 건 1905년이다. 이후에도 골프공은 고분자 화학과 소재 공학의 도움으로 설린(surlyn), 우레탄(urethane), 아이노머(inomer) 등과 같은 신소재가 잇달아 개발되면서 변신을 멈추지 않았다.

골프공의 역사는 ‘피스’(peace·겹) 증가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골프공을 구성하고 있는 각기 다른 소재의 층을 말한다. 5피스짜리인 T사의 공을 예로 들면 가장 안쪽의 핵 역할을 하는 코어(core)와 가장 바깥쪽을 싸고 있는 커버(cover), 그리고 중간 부분의 3개 층(mantle) 등 모두 다섯 개의 겹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는 부드러운 우레탄(urethane) 재질로 만들어 고도의 볼 컨트롤을 요구하는 웨지샷에 높은 백스핀을 제공한다. 세 겹의 중간층 가운데 커버 바로 안쪽의 층은 가장 탄력 있는 부분으로 숏 아이언의 볼 스피드인 120mph 이하의 스피드에 가장 적합한 스핀과 탄도를 만들어 준다. 그 아래쪽의 층은 중간 정도의 강도로 미들 아이언의 볼 스피드인 120~140mph 구간에서만 찌그러들게 설계됐다.

가장 안쪽의 층은 롱아이언의 볼 스피드인 140~160mph 구간에서 고탄도와 저스핀의 샷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코어는 사실상 공의 엔진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장 부드럽고 탄력 있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졌지만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140~180mph 이상의 볼 스피드에만 찌그러든다. 따라서 빠른 스윙을 가진 골퍼의 드라이버 스윙 때 높은 탄도와 낮은 백스핀으로 보다 큰 비거리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결론적으로 골프공의 피스는 클럽별 특성과 스윙 스피드에 따라 최적의 샷을 만들어내기 위한 골프공 설계 및 제작 기법인 것이다. 그렇다면 피스 수가 많을수록 좋은 걸까? 자동차의 변속기어와 비교하면 답은 나온다. 2단보다 5단 변속이 주행을 더 부드럽게, 더 정숙하게 하지만 이건 숙달된 운전자의 경우다. 운전이 미숙하면 복잡한 기어는 오히려 짐이다. 골프공의 피스 수도 자신의 골프 실력과 스윙스피드에 맞아야 한다.

cbk91065@seoul.co.kr

2015-11-2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