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학술논문과 돈거래/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금요칼럼] 학술논문과 돈거래/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21-04-29 20:30
업데이트 2021-04-30 01: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15년의 해외생활을 마무리하고 귀국한 지 어언 13년째다. 귀국 후 한동안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느라 시간이 필요했다. 대개는 적응이 수월했지만, 힘든 것도 더러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가 학술논문을 학술지에 실을 때 게재료라는 명목으로 돈을 내는 일이었다. 구미 영어권 학계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짓을 하자니 적응이 어려웠다.

그래도 그때는 10만원쯤이었다. 지금은 20만원을 요구하는 학회도 적잖다. 심지어 없던 항목도 새로 만들어 요구한다. 이른바 심사비다. 6만원 정도는 기본이다. 그래서인지 국내에서는 어떤 투고 논문을 심사하면 3만원 정도를 심사료로 받는다. 논문심사비용을 투고자에게 전가한 꼴이다.

미국인 동료에게 이런 얘기를 하면 다들 놀라 자빠진다. 그들이 상상할 수 있는 한도를 넘은 현상이기 때문이다. 참고하니 일본 학계에서도 학술논문과 관련해서는 돈거래가 전혀 없다. 중국 학계에서도 각 대학에서 연구 업적으로 인정하는 학술지는 돈거래가 거의 없다. 한국에서만 학술논문을 놓고 돈거래가 만연하다. 이런 어이없는 기현상은 도대체 왜 발생했을까?

먼저, 학회의 영세성을 들 수 있다. 국내 인문계열 학회는 대체로 가난하다. 돈이 궁하니, 논문을 학회지에 실어 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한다. 그것으로 출판비용을 충당한다. 게재료를 받지 않으면 학술지 하나 변변히 출간할 수 없다는 얘기다. 회원들의 회비로 학회를 운영하고 학술지를 정기적으로 출간할 수 없다면, 그런 학회는 학술지를 내지 말거나 아예 해산하는 게 낫다.

그런데 여유자금이 꽤 있는 학회도 남에게 뒤질세라 죄다 돈을 받고 논문을 실어 준다. 학회 기금을 아끼려는 의도도 있으나, 학계의 풍토에 익숙한 탓이기도 하다. 논문을 게재하려면 당연히 돈을 내야 한다는 의식에 갇혀서 껍질을 깨트리고 나올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대학교수들도 침묵으로 일관한다. 관행의 무서움이다.

교육부의 행태도 큰 요인이다. 국가권력을 투입하여 모든 연구자의 논문 업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땅의 모든 연구자는 연구업적을 인정받으려면 교육부가 인정하는 전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수밖에 없다. 개별 연구자는 졸지에 을(乙)로 내몰린 셈이다. 반대로 학회는 대체로 갑(甲)이 되었다. 누구나 통과해야 하는 문을 만들어 놓고는 일종의 통행세를 갈취하는 모습이다. 요즘엔 학회가 워낙 많은 탓에 오히려 학회에서 개인 연구자에게 논문 투고를 ‘구걸’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게재료는 받는다.

이뿐이 아니다. 교육부는 학회 학술지도 심사하여 등급을 올리고 내리는 권력을 휘두른다. 심사할 때 게재료나 심사료가 제대로 장부에 찍혔는지도 본다. 정당한 심사와 게재 과정을 거쳤는지 판단하려 돈이 오간 흔적을 참고하니 어처구니없다.

이런 기막힌 현실의 일차 책임은 물론 학계에 있다. 공권력의 간섭을 초래한 면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국가에서 전문 연구자의 학술지를 평가하고 권력을 휘두르는 것도 아주 웃기는 일이다. 어떤 논문의 우수성 여부는 관련 학계에서 꾸준히 공부하는 학자라면 서로 다들 안다. 엉터리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나 학술지는 점차 학계의 중심에서 멀어지게 마련이다. 구미 영어권 학계에서는 다들 그렇게 연구업적을 평가한다. 그게 바로 선진국의 모습이요, 학문의 자율성이다.

학술논문까지 국가권력이 평가하겠다며 거대 권력을 휘두르는 현실을 보면, 관치(官治) 만능의 후진성을 여실히 알 수 있다. 이런 심각한 문제를 제기조차 하지 않는 학계도 마찬가지다. 국가권력의 눈치를 보면서, 논문을 놓고 돈거래를 하면서 어떻게 학자라 할 수 있을까? 이 또한 국내 학계의 후진성을 보여 주는 한 단면이다.
2021-04-30 29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