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 주재 여야 토론 국민이 지켜본 美 정치

[사설] 대통령 주재 여야 토론 국민이 지켜본 美 정치

입력 2010-02-27 00:00
업데이트 2010-02-27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기회가 닿을 때마다 ‘한국을 보라.’고 하지만, 정말 봐야 할 주체는 우리이며, 봐야 할 대상은 미국, 특히 미국의 정치인지 모른다. 어제 백악관 영빈관에서 장장 7시간30분 동안 펼쳐진 역사적 토론은 왜 미국인지, 왜 미국 정치인지를 보여 준다. 오바마 대통령과 민주당·공화당의 상·하원 원내대표, 그리고 각 상임위원장 등 40여명의 여야 정치지도자들이 한데 모여 미국 사회의 최대 쟁점인 건강보험 개혁에 대해 말 그대로 끝장토론을 벌였다. 토론은 CNN과 MSNBC 등 주요 뉴스채널을 통해 미 전역에 생중계됐다.

정치 이벤트에 불과하다거나 접점을 찾지 못한 실패작이라는 비판이 없지 않으나 우리가 새겨야 할 것은 따로 있다. 그들은 대화를 두려워하지 않았고, 치열한 설전을 주고받으면서도 상대에 대한 예의를 지켰고, 토론의 룰을 따랐다. 시시콜콜하다 싶을 정도로 건강보험 개혁안의 세부내용에 대해 논란을 벌이면서도 토론 사회를 본 오바마 대통령은 양측이 동의하는 내용들을 하나씩 정리하며 접점 쌓기에 진력했다. 의견이 다르다 싶으면 토론은커녕 아예 네 편 내 편을 갈라 빗장부터 걸어 잠그는 우리 정치와는 달라도 한참 다른 문화가 아닐 수 없다.

한나라당이 닷새간의 세종시 의원총회를 어제 끝냈다. 비록 친이·친박 진영의 접점 없는 공방 속에 친박진영 뒷조사 논란 같은 볼썽사나운 모습도 나왔으나 나름의 의미도 컸다고 본다. 대치와 충돌에 익숙한 우리 정치문화에서 그나마 양측이 머리를 맞댔을뿐더러 중진협의체를 구성해 대화를 계속 이어 나가기로 하는 등 소득도 거뒀다.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집권세력이 내부의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고 중지를 모아 나가는 과정은 비단 그들의 정치적 이해득실 차원을 넘어 한국 정치의 격과 직결되는 일이다. 모쪼록 ‘한국 정치를 보라.’는 말이 나올 만한 대화와 타협, 승복의 정치를 보이기 바란다.
2010-02-27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