닮은 듯 다르다…국립국악원서 만나는 북한 민족음악

닮은 듯 다르다…국립국악원서 만나는 북한 민족음악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0-08-07 18:24
업데이트 2020-08-07 1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25주년 기념 개편
‘공간이음’ 선보이며 북한음악자료실 공개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3층 ‘공간이음’에 마련된 북한의 민족음악 기획전시 ‘모란봉이요, 대동강이로다’의 북한의 음악가 전시 장면.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3층 ‘공간이음’에 마련된 북한의 민족음악 기획전시 ‘모란봉이요, 대동강이로다’의 북한의 음악가 전시 장면.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국내 최초의 북한음악 전문 자료실이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에 마련됐다.

국립국악원은 국악박물관 3층의 자료실과 기획전시실 공간을 개편한 복합문화공간 ‘공간이음’을 7일 선보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8일부터 북한의 민족음악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획전시 ‘모란봉이요, 대동강이로다’도 오는 12월 6일까지 연다.

임재원 국립국악원장과 김희선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은 7일 오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악박물관 개관 25주년을 기념해 ‘공간이음’을 개설해 다양한 국악 관련 문헌과 음향, 영상 등을 만나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 공간에서는 특히 북한음악자료실도 마련돼 북한음악에 대한 연구자료들도 확인할 수 있다.

‘공간이음’은 ‘‘공간(共看): 함께 보다’와 ‘이음: 다양한 관계를 잇다’는 의미로, 개편된 공간에 5000여점의 북한음악 관련 자료를 포함해 2만 3000여권의 도서, 5만 4000여점의 전통공연예술 시청각 자료 등 총 8만 2000여점을 소장하고 있다. 북한음악자료는 2016년 통일부의 특수자료 취급 인가를 거쳐 단행본, 신문, 잡지, 팸플릿, 영상, 사진 등 1만 5000여점을 수집한 가운데 5000여점만 먼저 공개하고 나머지는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으로 알려졌다.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3층에 마련된 기획전시 ‘모란봉이요, 대동강이로다’의 ‘민족가극’ 코너에서 만날 수 있는 북한의 민족가극 춘향전의 무대를 축소한 모형. 실제 공연이 진행되듯이 무대 진행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3층에 마련된 기획전시 ‘모란봉이요, 대동강이로다’의 ‘민족가극’ 코너에서 만날 수 있는 북한의 민족가극 춘향전의 무대를 축소한 모형. 실제 공연이 진행되듯이 무대 진행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특별 기획전시 ‘모란봉이요, 대동강이로다’에서는 북한의 음악가와 민족음악, 월북 국악인, 민족기악, 민족성악, 민족가극, 민족무용 등을 순서대로 볼 수 있다. 북한의 음악가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볼 수도 있고 다양한 북한 악기의 소리와 그에 대한 설명도 디지털 영상을 통해 접할 수 있도록 했다. 민족가극 코너에서는 북한의 ‘춘향전’ 무대를 축소 모형으로 설치해 마치 실제 공연이 진행되듯한 무대 흐름도 직접 볼 수 있다.

전시와 함께 8일부터 10월 10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국악박물관 국악뜰에서 북한음악에 대한 강연도 열린다. ‘무용가 최승희의 월북 후 행적을 사진으로 읽다(8월 15일)’, ‘김철웅의 북한음악산책(9월 19일)’, ‘김계옥이 말하는 옥류금 음악(10월 3일)’ 등의 해설이 이어질 예정이다.

임 원장은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기록하는 일은 국가가 해야할 여러 책임 중 하나”라면서 “‘공간이음’을 통해 과거의 기록물이 미래의 창작으로 국악과 국민, 남과 북이 이어지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